[데스크 칼럼] 中企에 몰려오는 쓰나미

이정선 2022. 1. 24. 00: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한국에 상륙한 건 2년 전 이맘때다.

전대미문의 코로나 사태로 가장 큰 시련에 내몰린 건 아무래도 소상공인, 중소기업이다.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직격탄을 맞은 소상공인들의 사정도 여전히 심각하다.

코로나 사태가 해소되기도 전에 '산소호흡기'와도 같은 금융지원이 끊기면 중소기업, 소상공인은 혹독한 '보릿고개'를 넘어야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정선 중소기업벤처부장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한국에 상륙한 건 2년 전 이맘때다. 2020년 1월 20일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목숨을 잃은 사람은 6540명(23일 기준)에 이른다. 그동안 겪은 충격은 우리 모두가 목격한 바다. 전대미문의 코로나 사태로 가장 큰 시련에 내몰린 건 아무래도 소상공인, 중소기업이다.

식자재를 생산하는 S사가 꼭 이런 경우다. 이 회사가 80억원을 들여 경기 평택에 냉동식품 공장을 완공한 건 2019년 11월. 두 달 뒤 터진 코로나 사태는 기대에 부풀었던 S사의 꿈을 송두리째 앗아갔다. 학교 단체급식용 식자재를 공급하려던 대기업과의 계약부터 틀어졌다. 거래하던 프랜차이즈 납품 물량도 90% 줄었다. 자금난에 시달리던 회사 대표는 주택담보대출을 신청했지만, 그마저 부동산 규제에 묶여 막혔다. “어처구니없이 투기꾼 취급을 받았다”는 그는 대부업체를 찾아가 5억원을 빌린 뒤 월 1000만원의 고리(高利)를 물고 있다.

 금리 인상에 대출 상환 겹쳐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직격탄을 맞은 소상공인들의 사정도 여전히 심각하다. 장사를 접으려 해도 밀린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해 폐업신고조차 못 하는 자영업자가 수두룩하다. 임대료를 내기 위해 택배 등 플랫폼 노동자로 나서는 이 역시 상당수다.

유감스럽게도 시련은 여기서 끝날 것 같지 않다. 갖가지 악재가 쓰나미처럼 밀려오고 있어서다. 당장 27일부터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다. 사망사고가 발생하면 중소기업인은 물론 식당 등 자영업자도 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 14일 기준금리를 연 1%에서 1.25%로 인상했다. 인플레 속도와 미국의 금리 인상 등 변수에 따라 연내 1.75%에서 최대 2%까지 올릴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이렇게 되면 중소기업의 채무 상환 부담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가장 두려워하는 파고는 오는 3월 닥친다. 대출 만기 연장 및 이자 상환 유예 조치가 종료되는 시점이다. 2020년 4월부터 세 차례 연장 조치에 따른 지원 총액은 272조2000억원 규모. 코로나 사태가 해소되기도 전에 ‘산소호흡기’와도 같은 금융지원이 끊기면 중소기업, 소상공인은 혹독한 ‘보릿고개’를 넘어야 한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약 1700만 개의 일자리를 담당하고 있는 주요 경제 주체다. 이런 사정을 살핀다면 네 번째 만기 연장이 필요하지만, 녹록지 않다는 데 정부의 고민이 있다.

 지원보다 '규제 비용' 줄여야

무엇보다 치솟은 물가가 운신의 폭을 좁히는 요인이다. 지난해 생산자물가지수는 10년 만에 최고치(109.6)를 기록했다. 금융당국으로선 돈을 거둬들여야 할 처지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최근 “만기 연장, 상환 유예 조치는 3월 말 종료하는 걸 원칙으로 한다”고 언급한 배경이다.

이런 와중에 정치권은 대선을 앞두고 수십조원 규모의 ‘선거용 돈 풀기’ 공약을 쏟아내는 중이다. 따지고 보면 돈 풀기는 규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코로나 사태에 아랑곳없이 주 52시간제와 최저임금 인상을 강행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한계상황으로 더 몰아넣은 건 정부다. “규제로 묶고 혈세로 막는다”는 비판이 거센 이유다. 병 주고 약 주는 식의 ‘규제 비용’이라는 것이다.

폭탄 돌리기처럼 자행되는 ‘표퓰리즘’ 정쟁의 대가는 차기 정부에 값비싼 청구서로 되돌아올 전망이다. 정작 큰 위기는 5월 새 정부 출범 이후 닥칠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 까닭이다. 주저앉기 직전의 낙타 등에 ‘마지막 지푸라기(last straw)’를 얹을지, 짐을 덜어줄지 가늠하게 될 운명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