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나랏빚 2천만 원 넘는다..재정 자물쇠는 '깜깜'

권남기 2022. 1. 23. 22:4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올해 국민 한 사람당 나랏빚이 2천만 원을 넘게 됩니다.

나랏빚의 기준을 정한 재정준칙이 준비돼 있지만, 이번 정부에서 국회 문턱을 넘긴 어려워 보입니다.

권남기 기자입니다.

[기자]

올해 국가채무는 사상 처음 1,000조 원이 넘습니다.

국내총생산, GDP의 50%로, 온 나라 1년 벌이의 절반은 빚입니다.

국민 한 사람당 나랏빚은 8년 만에 2배가 늘며 올해 2천만 원을 돌파할 예정입니다.

예상치 못한 코로나19 재난으로 국민 호주머니가 텅 비어가는 상황이라 나랏빚 지는 건 당연했습니다.

정부가 돈을 써서 경제를 살리면 세금 수입이 늘고 나라 살림도 나아진다는 이른바 '재정의 선순환'도 기대했습니다.

[홍남기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지난 2020년 3차 추경) : 지금 재정의 마중물과 펌프질이 '위기극복→성장견인→재정회복'의 선순환을 구축하고 국가 경제에 기여하리라….]

하지만 나랏빚 느는 속도가 너무 빠르단 걱정도 나옵니다.

IMF는 35개 선진국 가운데 경제규모 대비 채무 증가 속도 1등으로 한국을 꼽았습니다.

정부 예측으로도 앞으로 3년은 수입보다 지출이 더 많아 나랏빚은 1,400조 원이 넘어갑니다.

갈수록 빨라지는 저출산·고령화 속도에 나라 살림이 예상보다 나빠질 수도 있습니다.

[김수영 / 통계청 인구동향과장 : 세금을 내는 인구보다는 복지로 지출되는 비용들이 (50년 뒤엔) 지금보다 5배 정도 더 많아진다고….]

여기에 새 정부가 들어서면 새 정책을 위한 실탄 마련을 위해 또 나랏빚을 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런 상황들을 걱정한 정부는 앞서 '재정준칙'을 준비했습니다.

나랏빚의 관리 기준을 정한 법인데, 문제는 1년 넘게 국회 통과가 안 되고 있습니다.

[김우철 / 서울시립대 세무학과 교수 : 국가채무 증가의 상한 같은 것들을 아예 법으로 수치화해서 정하는 것입니다. 우리 재정 건전성이 이제 준칙을 도입하지 않으면 안 될 만큼 관리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국가의 채무를 관리할 최소한의 규범조차 없는 상태에서, 나랏빚은 지금도 1초에 7만 원씩 늘고 있습니다.

YTN 권남기입니다.

YTN 권남기 (kwonnk0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싱글몰트위스키 vs 스카치위스키' 다니엘이 설명해준다!

대한민국 24시간 뉴스채널 YTN [LIVE 보기]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및 예방접종 현황을 확인하세요.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