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구글·아마존發 M&A, 10년 만에 최다

허세민 2022. 1. 23. 18: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 알파벳 아마존 등 미국 빅테크(대형 정보기술기업)의 지난해 인수합병(M&A) 거래가 10년 만에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규제당국이 시장 경쟁을 제한하는 빅테크의 반독점 행위를 단속하겠다고 한 이후에도 대규모 M&A가 이어진 것이다.

미국 정부가 빅테크 규제를 본격화하기 전에 빠른 속도로 M&A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정부 빅테크 규제 앞두고..작년에만 107곳 인수합병
MS, 56건·257억弗로 최대
아마존 29건, 알파벳 22건
바이든, 취임이후 빅테크 압박
FTC위원장에 '아마존 저격수'
M&A 취소소송 제기할 수도

마이크로소프트(MS) 알파벳 아마존 등 미국 빅테크(대형 정보기술기업)의 지난해 인수합병(M&A) 거래가 10년 만에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규제당국이 시장 경쟁을 제한하는 빅테크의 반독점 행위를 단속하겠다고 한 이후에도 대규모 M&A가 이어진 것이다. 연초부터 미국 정부가 강력한 규제 의지를 드러낸 만큼 ‘빅테크 옥죄기’가 본격화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10년 만에 최다 M&A

CNBC는 금융정보업체 딜로직의 자료를 인용해 지난해 MS 알파벳 아마존의 M&A 건수가 2011년 이후 최다 기록을 세웠다고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비공개 M&A는 제외한 수치다.

작년에 M&A를 가장 많이 한 빅테크는 MS(56건)였다. 인공지능(AI) 기반 음성기술 회사 뉘앙스커뮤니케이션을 190억달러(약 22조6575억원)에 인수한 게 대표 사례다. 아마존과 알파벳은 각각 29건, 22건의 M&A를 했다. 지난해 아마존은 85억달러에 대형 영화 제작사 MGM스튜디오를 인수하는 ‘메가딜’도 완료했다. 알파벳의 인수액 규모(220억달러)는 10년 만의 최대치였다. MS와 아마존의 인수액은 각각 257억달러, 157억달러로 집계됐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취임과 함께 빅테크와의 전면전에 나섰다. 빅테크가 잠재적인 경쟁사를 인수해 자유로운 시장 경쟁을 저해한다는 이유에서다. 지난해 6월 ‘아마존 저격수’로 불리는 리나 칸 컬럼비아대 교수를 미 연방거래위원회(FTC) 위원장에 앉힌 것도 이런 까닭에서다. 칸 교수는 예일대 로스쿨 졸업 당시 작성한 논문 ‘아마존의 반독점 역설’로 유명해진 인물이다.

칸 위원장 취임 뒤 FTC는 아마존 메타(옛 페이스북) 등을 상대로 반독점 소송을 제기하며 규제의 칼날을 빼들었다. 하지만 M&A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정부가 빅테크 규제를 본격화하기 전에 빠른 속도로 M&A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다. 에릭 고든 미시간대 경영대학원 교수는 “법정에서 (빅테크를 규제해야 한다는) 판례가 나오면 다른 판사들이 이를 따르기 쉬워진다”며 “빅테크는 그 전에 거래를 성사시키고 싶어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발톱 드러낸 美 당국

빅테크의 M&A가 늘어나다 보니 관련 자료를 검토해야 할 FTC에 과부하가 걸렸다는 관측도 나온다. 미 현행법에 따르면 FTC는 M&A를 추진하는 기업에 관련 정보를 추가로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FTC는 일정 시한 안에 M&A 승인 여부를 밝혀야 하지만 한정된 인력 탓에 자료 검토를 마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결국 FTC는 “더 이상 심사를 미룰 수 없다”며 “기업은 위험을 감수하고 M&A를 할 수 있다”고 밝힐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문제는 FTC가 “추후 (M&A와 관련해) 취소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는 단서를 붙이고 있다는 점이다. CNBC는 “빅테크의 M&A가 무효화될 수 있어 기업의 불확실성이 높아진다”고 지적했다.

빅테크의 M&A 절차는 험난해질 전망이다. 미 경쟁당국이 깐깐한 잣대를 들이밀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FTC는 지난 18일 법무부와 공동성명을 내고 시대에 뒤떨어진 M&A 승인 지침을 개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교롭게도 이날은 MS가 미국 게임회사 액티비전블리자드를 인수한다고 발표한 날이었다. 다음날엔 칸 위원장이 취임 후 첫 인터뷰에서 “빅테크가 우리를 위협할지라도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며 규제 의지를 분명히 했다. 전 FTC 위원인 빌 코바시치 조지워싱턴대 법학 교수는 “FTC가 빅테크에 대해 조치를 취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내다봤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