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좋아요" 일 국민 소폭 증가..친밀감 응답비율 2.1%p↑

이정호 기자 2022. 1. 22. 12:2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일본의 대표적인 항만 도시 요코하마시 전경. 로이터연합뉴스

악화하던 한국에 대한 일본 국민의 인식이 다소 개선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2일 일본 내각부가 지난해 9~11월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701명(유효답변자)을 대상으로 외교 관계를 주제로 벌인 우편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에 친근감을 느낀다는 응답자 비율이 37.0%를 기록해 전년보다 2.1%포인트 높아졌다. 친밀감을 느끼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62.5%를 차지해 2019년(71.5%)과 2020년(64.5%) 조사 때보다 줄었다. 성별로는 여성, 연령대로는 젊을수록 한국에 친근감을 느낀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현재의 한일 관계에 대해선 ‘좋지 않다’는 응답률이 81.1%로 여전히 높긴 했지만 2019년(87.9%)이나 2020년(82.4%) 조사 결과보다는 낮아졌다. 내각부가 매년 실시하는 이 조사에서 한국에 대한 일본인의 호감도는 한국 대법원의 일제 강점기 징용피해자 배상 판결로 양국 관계가 본격적으로 악화한 2019년에 가장 낮게 나왔다. 당시 조사에서 한국에 친근감을 느끼지 않는다는 답변 비율이 71.5%로 치솟아 같은 질문으로 조사를 시작한 1978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드라마, 영화, 음악 등 한류 콘텐츠가 일본에서 인기를 끌면서 한국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 대해선 친근감을 느낀다는 답변 비율이 작년과 비슷한 20.6%에 그친 가운데 현재의 중일 관계를 좋지 않다고 보는 사람 비율은 3.4%포인트 높아진 85.2%를 기록했다. 미국에 대해 친근감을 느낀다는 답변 비율은 2020년의 84.0%에서 작년에는 88.5%로 상승했다. 현재 미일 관계도 역대 최고치인 91.3%가 좋다고 답변했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