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클리 스마트] 카카오의 위기 돌파책은 '남궁훈과 메타버스'?

한혜원 2022. 1. 22. 10: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카카오페이 임원들의 회사 주식 대량 매각으로 '신뢰의 위기'에 빠진 카카오가 돌파책으로 '남궁훈과 메타버스'를 내놓았다.

이 회사는 김범수 의장의 오랜 측근이며 카카오게임즈 대표를 지낸 남궁훈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을 카카오 단독대표로 내정하고 메타버스 중심의 사업 재편 구상을 밝혔다.

메타버스는 남궁 내정자가 카카오게임즈 대표 때부터 강조한 영역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 [카카오 제공]

(서울=연합뉴스) 한혜원 기자 = 카카오페이 임원들의 회사 주식 대량 매각으로 '신뢰의 위기'에 빠진 카카오가 돌파책으로 '남궁훈과 메타버스'를 내놓았다.

이 회사는 김범수 의장의 오랜 측근이며 카카오게임즈 대표를 지낸 남궁훈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을 카카오 단독대표로 내정하고 메타버스 중심의 사업 재편 구상을 밝혔다.

지난 20일 내정자로 뽑힌 남궁 차기 카카오 대표는 창업자인 김 의장과 삼성SDS 재직 시절부터 따져 25년간 인연이 이어지고 있는 최측근이다.

그는 김 의장이 1998년 삼성SDS를 퇴사해 PC방을 운영할 때, 1999년 한게임을 창립할 때, 2000년 한게임을 네이버와 합병해 NHN을 만들 때, 2008년 NHN을 떠날 때 등 중요한 고비마다 진퇴를 함께 했다.

그는 CJ인터넷, 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게임인재단 등을 거쳐 2015년 카카오에 합류하면서 다시 김 의장의 곁에서 일하게 됐으며, 카카오게임즈의 각자대표를 작년 12월까지 맡았다.

김범수 의장과 남궁 대표 내정자는 지금까지의 플랫폼 확장 방식에서 벗어나 '미래지향적 혁신', '새 땅 개척'에 나서겠다고 공언했다.

김 의장은 카카오 사내 게시판에 올린 글에서 "카카오 11년동안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많은 공동체의 회사들이 성장해왔지만, 이제는 카카오톡의 다음 비전을 고민해야하는 시기라 판단했다"며 "미래지향적 혁신을 실현해 나갈 적임자를 논의하는 테이블을 열었고, 엔케이(남궁훈)라는 결론을 내리게 됐다"고 썼다.

남궁훈 카카오게임즈 대표 [카카오 제공, 재판매 DB 금지]

남궁 내정자도 페이스북 글을 통해 "우리는 다시 새로운 땅을 개척하는 관점에서 모든 사업 전략을 새롭게 구성해야 한다"며 이 새로운 땅이 '메타버스'라고 지목했다.

그는 "기존 세상의 기술 혁신보다는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기업을 개편해 새 땅을 개척하는 것이 국민의 요구와 카카오의 창업 정신을 모두 지키는 길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메타버스는 남궁 내정자가 카카오게임즈 대표 때부터 강조한 영역이다.

남궁 내정자는 작년 11월 3분기 카카오게임즈 실적발표 후 홈페이지에 올린 주주서한에서 "향후 플레이를 통해 오프라인과 온라인이 결합되는 '스포츠', '메타버스', 'NFT'(대체불가토큰) 세 분야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카카오 공동체가 보유한 다양한 콘텐츠와의 시너지를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메타버스 사업에 진출할 계획이며, 현재 게임 및 가상 아이돌 등의 콘텐츠와 자체 경제모델이 구현된 오픈형 플랫폼을 준비 중이다"라고 당시 밝혔다.

'남궁훈과 메타버스'라는 카카오의 위기 타개책에 긍정과 부정의 시선은 엇갈린다.

이창민 한양대 경영학부 교수는 22일 "카카오가 기존 기업들을 문어발식으로 인수·합병(M&A)해 덩치를 키우면서 혁신에서 멀어졌다"며 "미래 산업인 메타버스에 자금을 투입하고 위험 감수를 하겠다면 나쁘지 않다고 본다"고 밝혔다.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는 "남궁 차기 대표도 결국 김 의장의 오랜 측근인데, 자리만 옮겼다는 점에서 진짜 혁신이라고 할 수 있는지 의문이 있다"고 지적했다.

카카오가 겪고 있는 위기의 직접적 계기는 류영준 카카오페이 전 대표를 포함한 카카오페이 임원 8명이 회사 상장 한 달 만인 지난달 10일 스톡옵션(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해 받은 지분 878억원어치를 한꺼번에 현금화한 사건이다.

지분 매각 전 20만3천원∼20만4천원대였던 카카오페이 주가는 이달 19일 12만8천원까지 떨어졌다.

hye1@yna.co.kr

☞ 정창욱 셰프, 지인 폭행·흉기 위협 혐의로 입건
☞ '전국노래자랑' 송해, 건강 문제로 입원…녹화 불참
☞ '돌부처' 오승환, 결혼식에서는 활짝…'사진 보니 진심'
☞ 美여성, 뉴욕 지하철서 아시아계 남성 떠밀고 혐오발언
☞ 29마리 자식 둔 '슈퍼맘' 호랑이, 16살 생 마감
☞ 수능과 보험은 어떤 관계일까…시험감독관도 보험 가입해
☞ 세계적 불교 지도자·평화운동가 틱낫한 스님 열반
☞ 여교사 화장실에 불법카메라 설치한 교장
☞ 크리스마스에 모텔서 초등생 성폭행한 스키강사 구속
☞ 4천500㎞ 말 타고 춘제 지내러 고향 간 중국 20대 화제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