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와 통했다"..LGU+ '일상비일상의틈' 50만이 찾았다

2022. 1. 21. 11: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LG유플러스가 MZ(밀레니얼+Z)세대를 위해 2020년 9월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426번지에 오픈한 복합문화공간 '일상비일상의틈' 누적 방문객이 50만명을 돌파했다.

장준영 LG유플러스 IMC 담당은 "MZ세대가 선호하는 취향을 중심으로 다양한 제휴사와 협업을 이어간 것이 많은 고객의 일상비일상의틈 방문으로 이어졌다"며 "앞으로도 MZ세대의 니즈를 반영한 다양한 프로모션과 행사를 통해 고객들이 자유롭게 소통하는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일 평균 1000명 꾸준히 방문
방문객 10명중 8명이 MZ세대
방문객 70% 이상이 타사 고객
LG유플러스의 복합문화공간 ‘일상비일상의틈’ 누적 방문객이 50만명을 돌파했다. [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가 MZ(밀레니얼+Z)세대를 위해 2020년 9월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426번지에 오픈한 복합문화공간 ‘일상비일상의틈’ 누적 방문객이 50만명을 돌파했다. 코로나19 장기화에도 불구하고 약 500일만에 거둔 성과다. LG유플러스는 21일 ‘일상비일상의틈(틈)’ 누적 방문객이 이달 기준 52만명을 달성했다고 21일 밝혔다. 하루 평균 1000명 이상이 틈을 방문한 셈이다.

틈은 지난 500일간 ▷현대자동차 아이오닉5 ▷안테나 ▷레고랜드 등과 콜라보레이션은 물론, ESG와 연계한 제로웨이스트 페스티벌, 싸이클라스틱데이 등 다양한 팝업 행사를 진행했다. 특히 많은 방문객이 몰린 행사는 지난해 11월부터 약 2개월간 디즈니+와 제휴한 ‘선물 같은 시간’으로 조사됐다.

틈 방문 고객을 분석한 결과, 방문객 중 MZ세대인 20~30세대 비중이 78%로 집계됐다. MZ세대의 취향을 반영한 각종 전시와 행사가 젊은 고객층의 관심을 이끄는데 성공했다는 분석이다. MZ세대가 자유롭게 입장할 수 있도록 통신사 제한을 두지 않은 만큼, 틈 방문객 중 LG유플러스가 아닌 타사 가입 고객은 70% 이상으로 조사됐다. 틈이 통신사에 관계없이 MZ세대가 즐기는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는 의미다.

전체 방문객 중 여성 방문객 비중은 약 67%, 남성 방문객은 약 33%로 각각 집계됐다. 방문객은 토요일에 가장 많이 방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토요일은 평균적으로 일주일 기준 약 23%의 고객이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틈은 올 상반기 국내 독립출판 문화를 소개하는 ‘책보부상 페스티벌’에 이어, LG유플러스의 캐릭터인 ‘무너’를 중심으로 한 캠페인을 진행할 계획이다. 오는 26일부터 다음달 9일까지 진행하는 ‘무너지지마 2022’는 캐릭터 무너가 사회초년생에게 전하는 응원 메시지를 주제로 진행된다. 캠페인 기간 틈 1층에는 ▷2022년 새해 운세를 점치며 인증샷을 남길 수 있는 룰렛 포토존 ▷한정판 무너 굿즈 판매 ▷설날 맞이 이벤트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장준영 LG유플러스 IMC 담당은 “MZ세대가 선호하는 취향을 중심으로 다양한 제휴사와 협업을 이어간 것이 많은 고객의 일상비일상의틈 방문으로 이어졌다”며 “앞으로도 MZ세대의 니즈를 반영한 다양한 프로모션과 행사를 통해 고객들이 자유롭게 소통하는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승희 기자

hss@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