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서 코로나 확산세 파악에 '하수샘플 검사' 효과적 재확인

이승구 2022. 1. 21. 09: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어떻게 전파되고 있는지 추적하는 방안으로 진단 검사 대신 '하수 샘플 검사'가 효과가 더 크다는 최근 밝혀졌다.

미국 뉴욕시의 생활하수를 조사한 결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오미크론 변이 첫 감염자가 발견되기 열흘 전 이미 이 도시에 오미크론이 당도해 있었던 것 같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DC·연구진 보고서.."하수 분석에서 오미크론 변이 형질 나와"
"뉴욕서 오미크론 첫 환자 나오기 열흘 전 하수에서 징후 발견"
캘리포니아·텍사스 주 연구자들도 하수에서 오미크론 단서 포착
NYT "하수감시·조사, '신종 변이 조기경보 시스템 역할' 재확인"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게티이미지뱅크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어떻게 전파되고 있는지 추적하는 방안으로 진단 검사 대신 ‘하수 샘플 검사’가 효과가 더 크다는 최근 밝혀졌다.

미국 뉴욕시의 생활하수를 조사한 결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오미크론 변이 첫 감염자가 발견되기 열흘 전 이미 이 도시에 오미크론이 당도해 있었던 것 같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한 캘리포니아․텍사스 주의 연구자들도 오미크론이 확산되기 이전에 채취한 하수 샘플에서 오미크론의 단서를 찾아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의 보도에 따르면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뉴욕·캘리포니아·텍사스의 연구자들은 뉴욕시의 하수 샘플을 분석한 결과, 이미 지난해 11월21일 오미크론 변이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보고서를 20일(현지시간) 공동으로 발표했다.

이때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과학자들이 첫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를 보고하기 4일 전이며, 미국에서 작년 12월1일 첫 오미크론 감염자가 나오기 열흘 전이다.

또한 캘리포니아·텍사스 주의 연구자들도 11월 말 채취한 하수 샘플에서 오미크론의 단서를 찾아냈다.

뉴욕의 연구진은 2020년 여름부터 도시 하수에서 코로나바이러스의 흔적을 추적하기 시작했다. 1주일에 한 차례 하수 샘플을 채취한 뒤 유전자 시퀀싱(염기서열 분석)을 했다.

이처럼 정기적인 샘플 채취에 따라 11월21일 하수를 채취해 시퀀싱 작업을 했는데 그 결과가 나올 무렵인 작년 12월 초 오미크론 변이 뉴스가 보도되기 시작했다.

연구진은 시퀀싱 결과에서 오미크론 변이의 특징적인 변이 형질을 바로 발견해냈다.

캘리포니아 연구진도 작년 11월25일 머세드에서 채취한 샘플, 11월30일 새크라멘토에서 채취한 샘플에서 각각 오미크론의 변이 형질을 발견했다.

NYT는 이번 연구 결과가 이미 이 시점에 확진자 데이터로 드러난 것보다 미국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더 광범위하게 퍼져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또 하수에 대한 감시·조사가 신종 변이의 확산을 알려주는 조기경보 시스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재확인해주는 것이다.

스탠퍼드대학의 환경 엔지니어 겸 보고서의 저자인 알렉샌드리아 보엄은 “처음에는 이 변이가 미국에 올지 불확실했다”며 “하수는 임상 샘플보다 훨씬 먼저 이 질문에 대답했고, 그 답변은 ‘그렇다’였다”고 말했다.

다만 이번 연구는 오미크론이 이들 도시에 있었다는 확정적인 증거는 아니라고 NYT는 짚었다. 바이러스는 산산이 해체된 채 하수 속에 존재했고, 오미크론에 고유의 많은 돌연변이 형질이 발견됐지만 이들이 모두 같은 유전체(게놈·유전물질의 집합체)에 있었는지는 입증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 참여한 CDC의 국립하수감시시스템 책임자 에이미 커비는 그럼에도 이번 연구 결과가 오미크론이 얼마나 빠르게 확산하며, 어디에서 가장 먼저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지에 대해 과학자들이 파악한 결과와 일치한다고 말했다.

커비는 “뉴욕 같은 대도시에서 새로운 변이가 가장 먼저 나타난다고 해서 누군가 놀라리라곤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