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덕, 日 장관에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 멈춰라"

왕길환 2022. 1. 21. 08: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佐渡)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일본 문화청 장관에게 항의 서한을 보냈다고 21일 밝혔다.

서 교수는 도쿠라 슌이치(都倉俊一) 문화청 장관에게 우편으로 보낸 서한에서 "태평양 전쟁 기간에 사도 광산에서 조선인 1천140명이 강제노역한 사실을 은폐하면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것은 역사적 사실을 숨기려는 꼼수"라고 지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항의서한 발송.."조선인 강제노역 사실 은폐는 꼼수"
일본의 사도 광산 모습 [출처:사도 광산 홈페이지]

(서울=연합뉴스) 왕길환 기자 =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佐渡)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일본 문화청 장관에게 항의 서한을 보냈다고 21일 밝혔다.

서 교수는 도쿠라 슌이치(都倉俊一) 문화청 장관에게 우편으로 보낸 서한에서 "태평양 전쟁 기간에 사도 광산에서 조선인 1천140명이 강제노역한 사실을 은폐하면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것은 역사적 사실을 숨기려는 꼼수"라고 지적했다.

일본은 사도 광산의 등재를 추진하면서 시기를 '에도(江戶) 시대'(1603~1867년)로 한정했다.

그는 "일본은 2015년 군함도(端島·하시마)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때 비슷한 꼼수를 쓰다가 '국제적인 망신'을 당했다"며 "당장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멈추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는 올해 말까지 세계유산위원회(WHC)의 군함도 관련 지적 사항에 대한 이행보고서의 제출이나 똑바로 신경을 쓰라"고 일갈했다.

WHC는 제44차 회의에서 군함도 관련 설명에 대해 "강제 동원된 한국인의 피해 사실이 빠져 있고 희생자들에 대한 추모 조치 역시 미흡하다"고 지적하면서 시정을 요구했다.

일본의 집권 자민당과 니가타(新潟)현 등은 최근 "세계유산 등재는 강제노역과 무관하다"는 식의 주장을 하는 등 다시 역사 왜곡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일본 우익 의원들은 한국과의 '역사전쟁'이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자국 정부를 압박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기도 했다.

서 교수는 "충분히 예상했던 일"이라며 "다음 달 1일 일본 정부가 유네스코에 최종 신청을 하게 되면 사도 광산의 강제노역 진실을 전 세계에 알리는 캠페인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했다.

사도광산의 역사 [연합뉴스 DB 사진]

ghwang@yna.co.kr

☞ 4만원 도시락을 900원에 팔고 취소라니…맘카페 '발칵'
☞ 한 달간 여성 치마 속 몰카 범인…무죄 확정 이유는
☞ 백신패스 받으려 일부러 코로나 걸린 가수, 결국 숨져
☞ 모텔 감금 옷 벗기고 폭행장면 영상통화로 보여준 10대 여학생들
☞ 톰 크루즈, 우주에서 영화 촬영?…2024년 스튜디오 구축
☞ 슈 "도박에 전 재산 날려 패가망신…반찬가게 일하며 변제 최선"
☞ '촬영 중 성추행' 조덕제, 명예훼손도 유죄…징역 11개월 확정
☞ 마녀사냥에 개명·성형…박원순 성폭력 생존자의 기록
☞ 울산 일산해수욕장 백사장서 60대 시신 발견
☞ 친할머니 살해 10대 형제에 '자전거 도둑' 책 선물한 판사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