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여행친구 '수다쟁이 보르헤스'

석진희 2022. 1. 21. 05: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보르헤스가 여기에 있어요. () 앞이 보이지 않고, 말을 엄청 많이 해요."

71살 보르헤스와 여행한 20대 청년의 말이다.

보르헤스를 읽어본 적도 없던 이 청년은 훗날 영문학 교수이자 작가가 된다.

) 하지만 보르헤스도 말하지 않았는가.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보르헤스와 나
제이 파리니 지음, 김유경 옮김 l 책봇에디스코 l 1만8000원

“보르헤스가 여기에 있어요. (…) 앞이 보이지 않고, 말을 엄청 많이 해요.”

71살 보르헤스와 여행한 20대 청년의 말이다. 보르헤스를 읽어본 적도 없던 이 청년은 훗날 영문학 교수이자 작가가 된다. 그리고 70대가 되어, 보르헤스와 스코틀랜드를 여행한 일주일을 회상하며 그의 회고록을 펴낸다. 제이 파리니의 <보르헤스와 나>가 그것이다.

여느 회고록과 다르다. 이 책은 이야기가 뼈대인 ‘소설 형식의 회고록’이다. ‘진지한 농담’의 대가 보르헤스 회고록답게 위대함과 가벼움이 어우러지는 내러티브가 유창하다.

첫 만남부터 예사롭지 않다. “만나 뵙게 되어 기쁩니다.” 헐렁한 갈색 세로줄무늬 양복, 오렌지빛 폭포수와 날아가는 물고기 무늬에 식사 때 먹은 음식물 흔적까지 가득한 넥타이를 맨 보르헤스의 대답은? “더 크게 말해, 난 맹인이란 말일세!” 

여행 당시 보르헤스(가운데) © JAY PARINI
보르헤스와 같이 여행하던 당시의 제이 파리니. © JAY PARINI

자신감만큼 수다도 특급이었다. 아르헨티나 국립도서관을 대표하는 이 ‘인간 백과사전’은 방대한 인용을 통해 청년에게 끊임없이 말한다. 다른 무엇도 아닌, 사랑과 시를.

앞이 보이지 않는 보르헤스는 파리니에게 “본 것을 정확하게 묘사”해달라고 부탁한다. 북해를 지날 때 파리니가 하는 말. “파도가 치고요.” (음…) 이어지는 “잔소리”는 쉽고 탁월한 작문법이다. “그건 충분히 구체적이지 못해. 내달리는 파도에 관해서 이야기해봐. 물 위에서 달리는 그 하얀 말들에 대해서 말일세. ‘어둡다’는 건 세부적이지가 못해. 그 색깔은 어떤가? 비유를, 이미지를 찾아. 나는 자네가 보는 것을 보고 싶네.”

제이 파리니. © OLIVER PARINI

카네기 도서관을 방문한 두 사람. 청년은 다시 묘사한다. “창문이 마치 눈을 굳게 감고 있는 것처럼 화가 나 보이는 건물이네요. 지붕선은 휘어진 눈썹 같고요. 뭔가 불만스러워 보여요.” (음~)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 1911년도 판을 만난 보르헤스는 갑자기 “고양이”가 되기도 한다. 책등을 핥기(!) 시작했다. “선생님, 지금 뭐 하시는 겁니까?”(경악한 도서관 직원) “가장 훌륭한 판본이지! (…) 어떤 책들은 맛을 봐야 하거든. 나는 책을 시식하는 걸 좋아해.”

실화가 바탕이라지만 363쪽(한국어판 기준) 분량의 50년 전 대화가 너무 구체적이란 점은 사실성에 대한 의구심을 자극할 수도 있겠다. (보르헤스의 생존해 있는 아내 마리아 코다마는 이 책에 노여움을 표하기도 했다.) 하지만 보르헤스도 말하지 않았는가. “사실 기억을 거친 모든 것은 허구가 된다네.”

석진희 기자 ninano@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