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대법원 백신 접종 의무화 무효 판결에 스타벅스도 계획 백지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 최대 커피 체인 스타벅스가 미국 내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의무화 계획을 백지화했다.
뉴욕타임스(NYT)는 20일(현지시각) 스타벅스가 전날 직원들에게 백신 접종 여부나 코로나19 테스트 결과를 보고할 필요가 없다고 통보했다고 전했다.
100인 이상 민간 기업에 백신 접종을 사실상 의무화한 조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에 따라 이 같은 방침을 발표했지만, 미국 대법원의 결정에 따라 더는 접종 의무화를 추진할 필요가 없게 됐다는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커피 체인 스타벅스가 미국 내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의무화 계획을 백지화했다.
뉴욕타임스(NYT)는 20일(현지시각) 스타벅스가 전날 직원들에게 백신 접종 여부나 코로나19 테스트 결과를 보고할 필요가 없다고 통보했다고 전했다. 스타벅스는 미국에서 9000개 이상의 매장을 두고 있으며 총 20만명을 고용했다. 당초 직원들에게 백신 접종 여부를 보고하고 미접종자에게는 매주 음성 결과서를 제출토록 했다.
스타벅스 대변인은 “백신 접종 의무화 방침은 회사가 독자적으로 세운 계획이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100인 이상 민간 기업에 백신 접종을 사실상 의무화한 조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에 따라 이 같은 방침을 발표했지만, 미국 대법원의 결정에 따라 더는 접종 의무화를 추진할 필요가 없게 됐다는 것이다.
앞서 대법원은 지난 13일 조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한 대기업 종사자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의무화 조처에 대해 과도한 조처라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사람이 모이는 곳이면 어디서든 퍼진다는 점에서 다른 전염병과 다르지 않은 코로나19에 대해서만 백신 접종을 강제한다면 직원들의 일상과 건강을 침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NYT는 대법원이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에 법적인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 상황에서 개별 기업들이 백신 의무화 방침을 추진하는 것은 부담스러울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에 따라 스타벅스 외에도 직원에게 백신 접종을 의무화하려고 했던 방침을 백지화하는 기업이 잇따라 나올 수도 있다.
특히 노동력 부족에 시달리는 소매업체 등 일부 업종의 경우 백신 의무화가 인력난을 가중할 것이라는 입장을 보였기 때문에 대법원의 결정을 반길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비즈톡톡] ‘1+1=3’ 마법 만든 애플과 중국의 공조… “파티는 끝났다”
- [가덕도신공항의 그림자]⑥ 베테랑 조종사 10인이 말한다 “한반도 항로 포화상태, 신공항 필요
- 콜마그룹 오너 일가, 보유 지분 90% 담보 내줘… 경영권 분쟁 향방에 촉각
- [현장+] “BTS 컴백하는데”…방시혁 오너 리스크에 흔들리는 하이브
- [그들은 왜 삼성을 떠났나]① 美 명문대 박사 전문성 못 살리고, 임원은 R&D 프로젝트 이해 부족...
- 노상방뇨하고 버스서 흡연… 中 관광객에 몸살난 제주도
- [비즈톡톡] 동원F&B가 참치에서도 ‘심장’에 꽂힌 이유는
- ‘고속 성장’ 방산 4社, 상반기 영업익 2조원 넘는다
- [가덕도신공항의 그림자] ⑤공항개발에 흔들리는 삶의 터전… 주민 670명 ‘이주난민’ 되나
- 항암제, 전기로 밀어 넣는다…부작용 없는 약물 전달 기술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