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주영수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본부장

KBS 2022. 1. 20. 21: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럼 코로나19 3년차는 어떻게 될지, 어떻게 준비해야할지 전문가와 얘기나눠보겠습니다.

국립중앙의료원 주영수 공공보건의료본부장입니다.

지난 2년 동안 가장 기억에 남는, 가장 위급했던 때는 언제일까요?

[앵커]

3만 명에 달할거란 전망이 나오는데, 현장에서 보시기에 뭐가 가장 급하게 준비해야합니까?

[앵커]

오미크론 특성에 맞춰 방역체계가 바뀝니다.

진단부터, 격리, 치료 시스템을 전환한다는 건데 부족한 부분 없습니까?

[앵커]

확진자가 급증하면 동네 병의원에서 확진자를 진료해야하는 겁니다.

그런데 일반 환자들도 봐야하는 동네 병의원에서 이게 가능할까요?

[앵커]

먹는 치료제, 궁금합니다.

예정된 100만 명분 가운데 2만 명분 정도가 먼저 들어왔는데, 처방되는 양이 적다고 들었습니다.

더 많이 확보하고, 처방도 늘려야하는 것 아니냔 지적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어려운 질문입니다만, 국민들이 가장 궁금한 건 이 코로나 상황이 언제 끝나냐는 거죠.

언제쯤이면 맘 편히 사람들과 어울리고 학교 가고, 경제 활동도 하고.. 그럴 수 있을까요?

[앵커]

여기까지 듣죠.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KBS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