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표 봤더니..석 달 늦어진 공사, 공기에 쫓겼나

김애린 2022. 1. 20. 21:3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번 사고의 원인중 하나로 무리한 공사 진행이 지적됩니다.

현대산업개발 측은 공사가 계획보다 빨라 무리한 단축은 없었다고 해명했는데요.

하지만 KBS 취재 결과 공사가 계획보다 많이 늦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애린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붕괴 사고 현장의 감리업무 보고서입니다.

무너진 201동의 예정 공정표를 보면, 39층의 골조공사를 지난해 11월 초까지 끝낸다고 돼 있습니다.

아파트가 무너진 건 39층 바닥 타설 중이던 지난 11일.

예정보다 공사가 석 달가량이나 늦은 시점입니다.

현장 노동자들도 공사가 늦어졌다는 말을 들었다고 증언합니다.

[사고 현장 공사 관계자 : "좀 늦었죠. 그 얘기는 들었습니다. 많이 좀... 공정 쪽에서는 어느 정도 늦어서."]

공정 계획이 원래 무리였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공정표대로라면, 23층부터 38층까지 16개 층을 석 달 만에 올려야 합니다.

5~6일 만에 한 개 층을 올린다는 계산인데, 이마저도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어려운 혹서기와 혹한기, 태풍 등을 뺀 계산입니다.

[송창영/광주대 건축학부 교수 : "7~8월은 우리나라에서 자연재해 대책 기간이에요. 비가 많이 오는 날이에요. 짧은 시간에, 빨리, 무리하게 공사를 할 수밖에 없게 시작한 거예요. 공사 자체가 너무 무리한 거예요."]

현대산업개발은 이런 지적에 대해 경찰 조사 중인 사안이라 답변이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현행 관련 법상 공정이 늦어지면 시공사는 벌점을 받게 되고 이후 공사 수주와 입찰에서 제한을 받습니다.

경찰은 현대산업개발이 공기에 쫓겨 콘크리트 타설 등 공사를 무리하게 진행하다가 붕괴 사고가 난 게 아닌지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애린입니다.

촬영기자:신한비 조민웅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김애린 기자 (thirsty@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