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우크라 침공 땐 재앙" 경고한 바이든, 낮은 수준 공격은 용인?

워싱턴|김재중 특파원 2022. 1. 20. 15:3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바이든 “‘경미한 침입’ 대응엔 동맹국간 이견”
“침입·침공 구분 경악” “푸틴에 청신호” 비판
 백악관, 파문 커지자 “공격 수위에 상응한 대응”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하던 중 취재진의 질문을 들으면서 생각에 잠겨 있다. 워싱턴|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만약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 재앙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만 ‘경미한 침입’의 경우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관해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동맹국 사이에 이견이 존재한다고 인정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소규모 공격을 사실상 용인한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낳으면서 파장을 일으켰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1주년을 하루 앞둔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움직임과 관련해 “내 생각에 그는 들어갈 것”이라면서 “그는 뭔가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국경 지역에 10만명이 넘는 병력을 집결시킨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어떤 식으로든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세를 취할 것이라고 예상한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그가 아직 전면전을 원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그가 미국과 나토를 가능한 크게 시험하기를 원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어 “러시아가 침공(invasion)을 할 경우 책임을 져야 할 것이며 이는 그들이 무엇을 하느냐에 달려 있다”면서 “만약 경미한 침입(minor incursion)일 경우 우리는 무엇을 하고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할 것인지를 두고 싸우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만약 그들이 국경에 집결한 군대로 할 수 있는 일을 실제로 한다면, 그들이 우크라이나를 더 침공한다면 이는 러시아에 재앙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일련의 제재를 가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러시아 기업들이 달러를 사용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우크라이나에 대한 낮은 수준의 공격은 사실상 허용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CNN방송은 한 우크라이나 당국자가 “바이든 대통령과 침입과 침공을 구분하려는 것에 경악했다”면서 “푸틴에게 마음대로 우크라이나에 들어가라고 청신호를 켜준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파문이 커지자 백악관은 진화에 나섰다. 에밀리 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트위터에 “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군과 준군사요원, 사이버 활동의 차이를 언급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발언은 러시아의 공세 수위에 상응한 대응을 다짐한 것이었다는 취지였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도 별도로 발표한 성명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 대통령에게 다음을 명확히 했다”면서 “만약 어떤 러시아군이라도 우크라이나 국경을 건넌다면 그건 재침략이고, 이는 미국과 동맹의 신속하고 가혹하며 단합된 대응에 직면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키 대변인은 “바이든 대통령은 오랜 경험에서 러시아가 사이버 공격과 준군사 공작을 포함해 군사적 행동에는 못미치는 광범위한 공격 전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안다”면서 이런 공격 행위에 대해서도 상응한 단호한 대응이 뒤따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나토 내에는 어떤 일이 벌어지느냐에 따라 각국이 하고자 하는 일에 관해 차이가 존재한다”고 밝힌 것도 주목을 받았다. 러시아가 취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대응 수위를 두고 나토 회원국 사이에 이견이 존재한다고 인정한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은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해 유럽 동맹국과의 단합을 연일 강조하고 있지만 유럽 내에선 유럽 차원의 대처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이날 유럽의회 연설에서 미국 주도의 외교를 지원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유럽연합(EU)이 러시아와의 안정적인 관계를 수립하기 위한 스스로의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마크롱 대통령은 유럽이 러시아와의 긴장 완화를 위해 러시아에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면서 미국과 나토 회원국이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이견을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표출했다고 지적했다.

워싱턴|김재중 특파원 hermes@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