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인문학 위기 전망

금창호 기자 2022. 1. 20. 14:2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EBS 글로벌 뉴스]

황대훈 기자 

두 번째 소식 보겠습니다. 

인문학 위기라는 말은 나온 지 오래된 이야기인데, 영국에서도 마찬가지인가 보군요.

금창호 기자 

네, 그리고 앞으로 인문학 연구가 더 힘들어질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설문조사 결과도 나왔습니다.

영국 리서치앤이노베이션이 대학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생명과 의학 분야를 연구목록에 포함시킨 곳의 61%가 이 분야 연구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또, 38%는 내년까지 물리학과 공학, 수학 연구 활동이 차지하는 비율이 더 늘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인문학 연구 확대에 대한 전망은 부정적이었는데요.

응답자의 41%가 내년까지 인문학 분야 연구 비중이 더 줄 것으로 예상했고, 예술과 인문학을 중심으로 연구할 것이라고 기대한 응답자는 7%에 불과했습니다.

황대훈 기자 

이렇게 되면 인문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앞으로 더 힘들어 질 수밖에 없겠네요.

금창호 기자 

네, 그렇게 예상이 되는데요. 

하지만, 영국 학계에서는 인문학 연구가 쉽게 줄지 않을 거란 전망도 나오는데요.

영국 왕립 아카데미의 헤탄 샤 최고 경영자는 "코로나19가 유행하는 상황에서 의학 등 분야가 관심을 받는 건 당연하다"면서도 "인문학 연구자들 역시 팬데믹 대응에 필수적이었다"고 설명합니다.

급격한 사회 변화에 맞춰 문화와 사람, 그리고 정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주제가 많기 때문에 인문학 연구 기반이 향후 몇 년 동안 필수적이란 겁니다.

또, 경제 분야에서 영국 학계는 여전히 세계 선두주자고, 유럽연구위원회 운영 프로그램 등 경쟁력 있는 연구 프로그램에서 지속적인 성공을 이어가고 있다고 덧붙엿습니다.

황대훈 기자 

네, 영국 인문학의 미래, 주목해보겠습니다. 

Copyright © E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