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인텔 제치고 '반도체 왕좌' 3년 만에 탈환..매출 90조↑

김우현 2022. 1. 20. 13: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작년 반도체 시장에서 약 760억 달러의 매출을 올려 매출 1위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삼성전자가 작년 반도체 시장에서 약 760억 달러의 매출을 올리며 3년만에 매출 1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가트너가 19일(현지 시각) '2021년 세계 반도체 시장 매출 톱10'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직전 년도 매출인 577억2900만 달러(약 68조7700억 원) 보다 31.6% 오른 759억5000만 달러(약 90조4700억 원)를 기록해 작년 반도체 매출액 1위에 올랐다. 시장 점유율 역시 13%로 가장 높았다.

삼성이 전 세계 반도체 연간 매출액에서 1위를 차지한 건 2018년 이후 3년 만이다. 지난 2018년 처음 1위에 올랐지만, 이후 메모리 가격이 하락하며 미국 인텔에 1위 자리를 내줬다.

인텔은 직전 년도 매출 대비 성장률이 0.5%에 그쳐 매출액 731억 달러(약 87조1200억 원)을 기록해 2위로 밀려났다. 3위는 SK하이닉스로 직전 년도보다 40.5% 늘어난 363억2600만 달러(약 43조29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2021년 반도체 매출 상위 10개 업체 매출 추정치. [사진 출처 = 가트너]
한편 가트너는 지난해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이 직전 년도보다 25.1% 늘어 총 5835억 달러(약 695조 3600억 원)를 기록해 처음으로 5000억 달러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자동차 산업, 5G스마트폰 등 여러 분야에서의 수요 증가가 반도체 시장의 성장을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앤드류 노우드 가트너 부사장은 "지난 해 세계 경제가 회복되면서 반도체 공급망 전체,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부족 현상이 나타났다"며 "강력한 수요와 더불어 물류, 원자재 가격 상승이 결합돼 반도체 평균 판매 가격이 상승했다"고 밝혔다.

[김우현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