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일게이트AI센터, 악플 및 혐오 발언 데이터셋 공개

최종배 2022. 1. 20. 11: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스마일게이트AI센터(이하 센터)는 악플 및 혐오 발언 데이터셋을 공개한다고 20일 밝혔다.

센터는 최근 혐오 표현이 온라인 공간에서 광범위하게 증가하고 있고,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혐오 표현을 선제적으로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악플 및 혐오 발언 데이터셋을 구축했다.

센터의 악플 및 혐오 발언 데이터셋은 게임 커뮤니티 내 댓글, 고객 응대 상담 챗봇, 여론 조사 등 여러 분야에서 대상을 둘러싼 혐오 발언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마일게이트AI센터(이하 센터)는 악플 및 혐오 발언 데이터셋을 공개한다고 20일 밝혔다.

센터는 최근 혐오 표현이 온라인 공간에서 광범위하게 증가하고 있고,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혐오 표현을 선제적으로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악플 및 혐오 발언 데이터셋을 구축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지식 콘텐츠 스타트업 언더스코어와 협업으로 이뤄졌다.

악플 및 혐오 발언 데이터는 지난 2019년 1월 1일부터 2021년 7월 1일까지 기간 동안 포털 사이트, 커뮤니티 등 웹사이트의 게시글을 대상으로 수집됐다. 수집 과정에서 혐오 관련 데이터의 시의성과 편향성을 띄고 있는 특성을 감안했으며 약 55만여 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1만 개의 데이터셋을 구축했다.

특히 데이터셋 구축 과정에서 여성/가족, 성소수자, 남성, 인종/국적, 연령, 지역, 종교, 기타혐오 등 8개의 대상으로 범주화 했다. 또, 혐오 발언 분류를 위한 기준 모델을 공개했으며 이를 통해 혐오 발언 추출이 가능하다.

센터의 악플 및 혐오 발언 데이터셋은 게임 커뮤니티 내 댓글, 고객 응대 상담 챗봇, 여론 조사 등 여러 분야에서 대상을 둘러싼 혐오 발언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향후 지속적인 R&D를 실시하면서 확보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혐오 표현을 보다 높은 정확도로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는 기술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에 수집된 데이터는 스마일게이트 AI 센터 깃허브 페이지에서 1월 중 공개될 예정이다.

한우진 센터장은 "자연어 처리 및 분류 관련 연구 목적 외에도 윤리성이 결여된 인공지능이 사회에 미치는 문제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는 기관으로서 책임과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데이터가 혐오 표현이나 인공지능의 윤리성이 사전에 분류 및 예방되어 좀 더 안전하게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데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최종배 jovia@fomos.co.kr
[게임&게이머, 문화를 전합니다. 포모스게임│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포모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