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맥 끊긴 '전통석회' 제조기술 복원..연구 보고서 발간

박상현 2022. 1. 20. 10: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2017년 시작한 전통 석회(石灰) 제조 기술 복원 연구를 지난해 완료하고 연구 성과를 담은 '문화재 보수용 전통석회 연구' 종합 보고서를 펴냈다고 20일 밝혔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전통 석회 연구를 위해 외규장각 의궤 104권을 살피고, 남한산성 성곽 여장(女牆·낮게 쌓은 담)과 경복궁 향원정 온돌 등지에서 확보한 석회 조각 477점을 조사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화재 보수용 전통석회 연구' 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국립문화재연구소는 2017년 시작한 전통 석회(石灰) 제조 기술 복원 연구를 지난해 완료하고 연구 성과를 담은 '문화재 보수용 전통석회 연구' 종합 보고서를 펴냈다고 20일 밝혔다.

석회는 전통 건축물에서 기초·채움·마감을 위해 사용하는 재료로, 조선시대 문헌인 의궤와 실록 등에도 기록됐다. 하지만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전통 석회 시공법이 단절돼 제조 기술을 복원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전통 석회 연구를 위해 외규장각 의궤 104권을 살피고, 남한산성 성곽 여장(女牆·낮게 쌓은 담)과 경복궁 향원정 온돌 등지에서 확보한 석회 조각 477점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석회 재료의 배합 조건을 도출하고, 내구성 평가도 했다. 또 창덕궁과 남한산성에서 옛 제조 기술로 만든 석회를 시범적으로 사용했다.

국립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조선시대 석회 첨가물 가운데 현대에는 쓰지 않는 죽미(粥米·죽을 쑬 때 쓰는 쌀)와 법유(法油·들기름)를 이용한 공법을 실험으로 재현했다"며 "법유의 방수 효과로 석회 파손이 억제된다는 사실을 파악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소는 연구 결과를 문화재 수리 시 석회를 쓰는 벽돌·미장 공사 등 11개 공사 분야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 개선에 활용할 방침이다. 시방서는 공사 세부 사항을 명시한 문서다.

보고서는 문화재청 누리집(cha.go.kr)과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에서 볼 수 있다.

psh59@yna.co.kr

☞ '촬영 중 성추행' 조덕제, 명예훼손도 유죄…징역 11개월 확정
☞ 양주시 공장 근로자 압출 기계에 손 끼여 빨려들어가 참변
☞ 슈 "도박에 전 재산 날려 패가망신…반찬가게 일하며 변제 최선"
☞ '한니발 라이징' 가스파르 울리엘 스키 사고로 사망
☞ 차에 싣고온 쓰레기 남의 빌라에 무단투기…딱걸렸다
☞ "'승리호 투자' 화이텐센트 CEO 실종"
☞ '영탁막걸리' 분쟁 예천양조, 영탁 고소…"악덕 기업 오명 씌워"
☞ 투자로 100억 번 당신, 원래 일 계속하실 건가요?
☞ 신화 앤디, 깜짝 결혼 발표…예비 신부는 9살 연하 아나운서
☞ 여중생에 술 먹이고 집단 성폭행·촬영한 일당 중형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