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에서 카톡 로그인 시도"..계정해킹 안내조차 해킹이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일 보안업계에 따르면 최근 이같은 카카오 피싱(Phishing, 공식 웹 사이트처럼 가장해 접속을 유도한 뒤 개인정보를 훔치는 해킹수법) 메일이 유포되고 있다.
'보호 해제하기'를 누른 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카카오 계정 혹은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습니다'라는 문구가 뜨는데, 이는 이미 해커 서버에 정보가 넘어갔다는 일종의 '확인 메시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A씨는 카카오에서 한 메일을 받았다. 자신의 카카오톡 계정이 도배(오픈방에서 특정메시지 반복전송)와 스팸행위 등에 악용돼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계정을 '이용자 보호상태'로 전환했다는 안내였다.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다시 이용하려면 보호 해제조치가 필요하다는 문구도 덧붙여 있었다. '보호 해제하기' 버튼을 누르니 새로운 창이 뜨고 "회원님의 소중한 정보 보호를 위해 현재 비밀번호를 확인해달라"며 비밀번호 입력란이 떴다.
19일 보안업계에 따르면 최근 이같은 카카오 피싱(Phishing, 공식 웹 사이트처럼 가장해 접속을 유도한 뒤 개인정보를 훔치는 해킹수법) 메일이 유포되고 있다. '보호 해제하기'를 누른 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카카오 계정 혹은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습니다'라는 문구가 뜨는데, 이는 이미 해커 서버에 정보가 넘어갔다는 일종의 '확인 메시지'다. 보안기업 이스트시큐리티에 따르면 이 과정에서 이용자 계정 비밀번호뿐만 아니라 △접속한 이용자 단말의 OS(운영 체제) △인터넷 브라우저 △국내 사용자 여부 등이 모두 암호화된 형태로 전송된다.
전문가들은 최근 이용자들이 계정보안 관련 안내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역이용한 수법으로 보고 있다. 카카오톡 하나로 백신예약이나 본인인증, 송금 등 개인정보와 관련된 여러 서비스를 쓰다보니 이용자들의 계정 해킹에 대한 불안감도 막연히 커진데다, 해외에서도 꾸준히 국내 계정을 해킹하려는 시도가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문종현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 센터장은 "공격자들도 이용자들이 이러한 메시지에 관심을 보인다는 걸 알고 역이용한 수법으로, 보안조치 안내 메시지라고 안심하다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연결된 웹 사이트 주소가 네이버나 카카오 공식 웹 사이트와 다른 점은 없는지, 이미 로그인한 상태인데 또 로그인을 요구하지는 않는지 등을 살펴보면 피해를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하트시그널3' 박지현도 트리마제 거주?…송지아와 같은 소속사 '불똥' - 머니투데이
- "키아누 리브스, 3700억 재산 너무많아 당황…상당수 기부" - 머니투데이
- 베컴 장남의 약혼녀, 불룩한 D라인 '깜짝'…"진짜 임신인 줄" - 머니투데이
- "내 사진 왜 사는지…고맙다" 셀카 NFT로 11억 번 '인니' 학생 - 머니투데이
- 故 신해철 10대 아들·딸 '자본주의학교' 출연…"홀로서기 응원" - 머니투데이
- "배우로 끝인 줄…" 엄정화, '닥터 차정숙' 시청률 1위에 오열 - 머니투데이
- 2년 만에 5억 증발…2030 '영끌' 몰린 평촌, 거래 씨 말랐다 [부릿지]
- 이효리 "이상순, 덮치고 싶어"…결혼 10년만에 왜?
- 韓면적 3분의 1 태운 캐나다…황색공포 뉴욕 "화성 보는 듯" - 머니투데이
- '오로라공주' 배우, 폐암만 두번 재발…"암세포 있지만 수술 못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