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지급 후정산' 신청 시작.."100% 손실보상 필요"

김상우 2022. 1. 19. 22:2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에게 정부가 '선지급 후정산' 방식으로 지급하기로 한 손실보상금 신청이 오늘부터 시작됐습니다.

자영업자 대부분은 이번 방식 역시 빚더미의 터널 탈출법은 아니라며 피해액 100% 보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김상우 기자가 자영업자들을 만나봤습니다.

[기자]

40대 자영업자가 운영하는 카페입니다.

코로나 사태 이전과 비교해 매출이 절반 이상 줄었습니다.

한때 밤 10시까지 영업이 가능했을 땐 좀 더 버텨보자는 실 날 같은 희망과 의지가 있었는데 지금은 그렇지 않습니다.

[카페 영업주 : 생각보다 체감적인 것이 엄청 큽니다. 10시까지 할 때는 그래도 버틸 만은 한데 9시까지 하는 것은 사실상 버티기도 힘든 수준입니다.]

인사동에서 선술집 운영 10년째인 60대 자영업자 전 모 씨도 최근 생계비마저 바닥나는 등 사정은 비슷합니다.

코로나 방역조치와 관련해 '선지급 후정산' 방식의 손실보상 신청이 시작되자 온라인 신청 대신 관련 기관을 찾아 신청 겸 문의에 나섰습니다.

[선술집 영업주 : 영업을 그만둬야 할 정도로 힘드니까 우선 구정(설)도 보내야 하고, 돈이 정말 필요하죠, 진짜.]

이번 신청 대상은 지난해 12월 6일부터 영업시간 제한 조치를 받은 소기업 등 55만 곳.

첫 닷새간만 출생연도 끝자리 기준 5부제로 시행합니다.

특히 지난해 4분기와 올해 1분기 손실보상금으로 250만 원씩 총 500만 원을 별도 심사 없이 대상 여부만 확인해 지급합니다.

다만 보상액이 확정되기 전까지는 무이자로 주고 확정 이후 차감하고 남은 잔액은 연 1%의 금리로 상환을 미룰 수 있습니다.

[요가센터 운영 대표 : 장기화하다 보니까 이게 빚으로 되니까 사람이 힘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는 것 같아요.]

복잡한 계산법에서 나온 손실보상 피해인정률은 80%.

자영업자 대부분은 피해액 100% 보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기존 보상도 터무니없는 수준인 데다 과도한 규제의 장기화로 이번 선지급 역시 빚더미의 터널에서 탈출하는 법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카페 운영 대표 : 장사는 당장 제힘으로 변화를 줄 수 있지만, 코로나 자체는 제힘으로 변화를 줄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고, 나라에서 시키면 따라가야 하는 것은 인지하고 있는데, 너무 과도하게 규제를 해버리면 자영업자는 정말 빚밖에 없게 되고….]

YTN 김상우 (kimsa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싱글몰트위스키 vs 스카치위스키' 다니엘이 설명해준다!

대한민국 24시간 뉴스채널 YTN [LIVE 보기]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및 예방접종 현황을 확인하세요.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