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새 휘발유 39%, 주거비 4% 상승..美 물가 고공행진 당분간 이어진다

강영연 2022. 1. 19. 17: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패스트푸드 체인점 중 한 곳인 치폴레는 2020년 8월 이후 작년 말까지 네 차례에 걸쳐 10% 넘게 가격을 올렸다.

기자가 최근 뉴욕 매장에서 확인한 대표 메뉴인 부리토볼의 단품 가격은 11.21달러.

미국의 물가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필수 에너지인 휘발유 가격은 미국에서 민감한 물가지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미크론·공급망 혼란 치명타
12월 물가상승 40년 만에 최고
구인난에 임금 인상도 가팔라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패스트푸드 체인점 중 한 곳인 치폴레는 2020년 8월 이후 작년 말까지 네 차례에 걸쳐 10% 넘게 가격을 올렸다. 기자가 최근 뉴욕 매장에서 확인한 대표 메뉴인 부리토볼의 단품 가격은 11.21달러. 가성비로 사랑받는 치폴레마저 한 끼에 1만3000원은 줘야 먹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미국의 물가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7.0% 뛰었다. 1982년 후 최고치다.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 물가는 더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주요 패스트푸드점은 물론 달러트리 등 생활용품점이 잇따라 가격을 올렸다. 휘발유 가격은 18일(현지시간) 갤런당 3.31달러(전국 평균)에 달했다. 1년 전 2.38달러에서 39% 급등한 수치다. 필수 에너지인 휘발유 가격은 미국에서 민감한 물가지표다. 갤런당 3달러를 넘어서면 집권당이 선거에서 패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월가에서 가장 우려하는 것은 주거비다. 작년 12월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 전달 대비 0.5% 각각 상승했다. 주거비는 한 번 오르면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주택 임차료를 갱신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주거비 상승이 새로운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임금 인상률도 가파르다. 패스트푸드점이나 대형마트의 평균 임금은 시간당 15달러 정도다. 연방 최저임금(7.25달러)을 두 배 이상 웃돈다. 실질 임금은 시간당 18달러 이상이란 분석도 나온다. 워낙 구인난이 심해서다. 고임금 근로자들의 임금도 급등세다. 작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한 골드만삭스의 총 인건비는 32억5000만달러에 달했다. 1년 전보다 31% 늘었다.

잠깐 안정세를 보였던 유가도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 이후 상승하고 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원유(WTI) 가격은 배럴당 85.74달러까지 치솟았다. 2014년 10월 후 7년여 만의 최고치다. 북해산 브렌트유 가격은 배럴당 88달러를 넘어섰다. 시장에선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돌파할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만성적인 수급 불안 속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 등 지정학적 위험이 가시화되고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지금과 같은 물가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공급망 혼란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임금 주거비 등 주요 항목은 더 크게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비영리 조사단체인 콘퍼런스보드가 세계 최고경영자 91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5%가 “인플레이션이 올해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31%는 내년 이후까지 물가 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물가 급등세는 올 2분기께 정점을 찍고 누그러질 것이란 분석이 많다. WSJ 설문조사에 따르면 경제학자들은 올해 말 CPI가 3% 안팎으로 떨어질 것으로 봤다. 상승률이 지금의 절반 이하 수준으로 낮아질 것이란 예상이다.

뉴욕=강영연 특파원 yykang@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