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의 공평한 분배는 팬데믹 해소 지름길"

김태성 2022. 1. 19. 17: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경제포럼 다보스 아젠다 2022 '백신평등에 대한 도전'
"백신 불평등, 초국가적 협력으로 극복해야"
"불평등 극복하면 연내 비상사태 끝낼 기회 생길 것"
(위부터) 마이클 라이언, 세스 버클리, 아다르 푸나왈라, 존 은켄가송, 가브리엘라 부커
"백신의 공평한 사용은 단지 인도주의적인 목적 때문만은 아니다. 그것은 현재 우리가 처한 전염병 국면에서 벗어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18일(스위스 현지시간) 세계경제포럼(WEF) 다보스 어젠더 2022에서 열린 '백신평등에 대한 도전' 세션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을 더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되는 백신 불평등의 원인과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에 대한 전문가들의 토론이 진행됐다.

온라인으로 열린 이 세션에는 마이클 라이언 세계보건기구(WHO) 비상대응팀장, 글로벌 백신 공동구매 프로젝트 '코백스(COVAX)'에 참여 중인 세계백신면역연합(Gavi)의 세스 버클리 대표, 글로벌 백신 제조업체 인도세럼인스티튜트(SII)의 아다르 푸나왈라 최고경영자(CEO), 존 은켄가송 아프리카 질병통제예방센터(ACDC) 국장, 가브리엘라 부커 옥스팜 인터내셔널 총재 등이 참가했다.

'전 세계 인구 70%에게 백신을 접종하라'는 캠페인을 진행 중인 라이언 국장은 "전 세계 인구 절반 이상이 2회 접종을 받았지만 아프리카의 경우 그 비중이 7%에 불과하다"며 아직까지 만연한 지역별 백신 불평등에 대해 지적했다. 그는 "백신을 공평하게 분배하는 것은 가장 취약한 사람들을 보호하는 것과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해결하는 것 양쪽에서 모두 효과가 있다"며 "이를 해낸다면 올해 사태를 끝낼 수 있는 기회가 생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커 총재는 백신 불평등의 원인으로 선진국들의 오판을 꼬집었다. 그는 "부유한 세계의 지도자들은 백신 민족주의와 함께 제약회사들의 독과점을 용인하는 판단착오에 빠졌다"며 "처음부터 (제약사들의) 지적재산권을 인정하지 않고 백신이 전 세계에서 대규모로 생산할 수 있게 했다면 판도를 뒤바꿀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버클리 대표는 "예방접종을 정치화하는 선진국 내 세력이 다른 세계로도 쏟아져 나오고 있다"며 "정치적 문제, 공급망 등의 문제 때문에 앞으로 나올 새로운 코로나 변종에 대응하는 백신도 (분배과정에서) '불평등 2.0'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당면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전문가들이 꼽은 해법은 초국가적인 협력이다.

라이언 팀장은 "많은 나라들이 우리가 백신을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더 빨리, 더 많이 접종할 수 있도록 (백신의) 생산능력을 전략적으로 분산시켜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기술 이전을 포함한 다자간 초국가적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향후 올지도 모를 제2의 팬데믹에 대비하기 위해 글로벌 기술 백신 허브를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다르 대표는 "나라마다 어떤 백신은 승인됐지만, 어떤 백신은 그렇지 않다"며 "글로벌 국가들이 임상실험과 관련 규제 수준에 대해 합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은켄가송 국장도 "지난 2년간 우리가 목격했던 도덕적 실패를 2022년에도 다시 반복할 수 없다"며 "아프리카 대륙에서 접종률 70%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세계적인 협력과 연대가 필수적"이라고 역설했다.

저소득 국가에서 백신 접종률을 높이는 것 뿐 아니라 선진국의 접종자에게 부스터샷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라이언 팀장은 "우리는 다시 바이러스에 노출돼 재감염될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에게도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산업화된 국가에 사는 취약한 사람은 나이가 많고 면역체계가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세번째 접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태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