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추상화의 정신을 만날 수 있는 대규모 전시회 개최

이승은 2022. 1. 19. 16: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추상화가 7인의 작품세계를 통해 우리 미술의 뿌리를 생각해보는 전시가 열리고 있습니다.

학고재는 2월 6일(일)까지 ['에이도스(eidos)'를 찾아서:한국 추상화가 7인]전시회를 엽니다.

김복기(아트인컬처 대표, 경기대 교수)가 총괄 기획을 맡은 이번 전시는 한국 추상회화의 역사를 되짚고, 잊힌 작가들의 올바른 위상을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김복기 교수는 한국 추상회화의 공통분모가 '내용이 있는 추상'이라고 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학고재, 잊힌 추상화가 이봉상,류경채,강용운,이상욱,천병근,하인두,이남규 재조명
오는 2월 6일(일)까지
학고재 전시회 전경

한국 추상화가 7인의 작품세계를 통해 우리 미술의 뿌리를 생각해보는 전시가 열리고 있습니다.

학고재는 2월 6일(일)까지 ['에이도스(eidos)'를 찾아서:한국 추상화가 7인]전시회를 엽니다.

김복기(아트인컬처 대표, 경기대 교수)가 총괄 기획을 맡은 이번 전시는 한국 추상회화의 역사를 되짚고, 잊힌 작가들의 올바른 위상을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이봉상(1916-1970, 서울)과 류경채(1920-1995, 황해도 해주), 강용운 (1921-2006, 전남 화순), 이상욱(1923-1988, 함흥), 천병근(1928-1987, 경북 군위), 하인두(1930-1989, 경남 창녕), 이남규(1931-1993, 대전) 등 7인의 작품 총 57점을 학고재 전관에서 선보입니다.

전후 서구로부터 유입된 추상회화 물결 속에서 치열한 '자기화의 몸부림'을 통해 한국적 특성을 모색한 이들이지만, 대중에게는 다소 생소한 이들입니다. 주최측은 이들이 개척한 한국적 자생의 길이 21세기에 와서 단색화가 국제무대에서 시민권을 획득하는 기적을 낳았다고 평가합니다.

류경채, 항교마을 75-5, 1975 캔버스에 유채
전시 제목의 '에이도스(eidos)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서 존재사물에 내재하는 '본질'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사상의 본질을 좇는 추상회화의 속성을 에이도스라는 개념에 빗댄 겁니다.
이남규 '작품' 1975 캔버스에 유채
김복기 교수는 한국 추상회화의 공통분모가 '내용이 있는 추상'이라고 봅니다. 작품에 내재한 기(氣), 서체적 충동, 색채, 여백이 서구미술과 조형적 차이를 드러낸다고 강조합니다. 작가들의 생전 기록과 서로 간 교류 상황 등을 살필 수 있는 아카이브 섹션도 아트센터 지하 1층 공간에 마련됐습니다.

YTN 이승은 (selee@ytn.co.kr)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싱글몰트위스키 vs 스카치위스키' 다니엘이 설명해준다!

대한민국 24시간 뉴스채널 YTN [LIVE 보기]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및 예방접종 현황을 확인하세요.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