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릭스 대해부]①한국·미국 RNA 최고 권위자들이 모였다

김유림 2022. 1. 19. 14: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 기사는 2022년01월18일 14시06분에 팜이데일리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2010년 설립된 올릭스는 국내 최고 RNA 권위자로 꼽히는 이동기 창업자 겸 대표가 이끌고 있다.

올릭스의 가치는 RNA 간섭 치료제 플랫폼기술 '비대칭형 올리고핵산(asiRNA)' 기반의 신약 개발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동기 대표, 국내 RNA 분야 핵심 과학자
RNA 세계 1위 앨라일람 부사장 연사 초대
미국 트라이링크 출신 신동원 상무의 합류
신동원 상무, 5'-캡핑 발명권자에 이름 올려
트라이링크 5'-캡핑, mRNA 백신 제조 필수

이 기사는 2022년01월18일 14시06분에 팜이데일리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이데일리 김유림 기자]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강타하면서 제약·바이오 산업의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급성장세를 거듭하는 제약·바이오 산업은 자동차, 반도체 등에 이어 한국의 차세대 미래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것이 확실시된다. 이데일리의 제약·바이오 프리미엄 뉴스서비스 ‘팜이데일리’에서는 한국을 이끌어 갈 K제약바이오 대표주자들을 만나봤다. 이번 주자는 글로벌 siRNA 치료제 톱5에 올라선 올릭스(226950)다.
이동기 올릭스 대표. (사진=김유림 기자)
2010년 설립된 올릭스는 국내 최고 RNA 권위자로 꼽히는 이동기 창업자 겸 대표가 이끌고 있다. 이 대표는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생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포항공대 조교수를 거쳐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과학자 길을 걸으면서 RNA 간섭(RNA interference, RNAi) 원천기술 개발에 노력을 쏟았고, 자가전달 비대칭 siRNA라는 독창적인 기술을 개발했다.

올릭스의 가치는 RNA 간섭 치료제 플랫폼기술 ‘비대칭형 올리고핵산(asiRNA)’ 기반의 신약 개발이다. DNA가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설계도이고, 중간에 RNA를 거쳐 단백질이 합성된다. 세포 내에서 실제 일은 단백질이 한다. 질병을 막기 위해서 특정 RNA를 작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술이 RNA간섭이다. siRNA는 mRNA보다 짧은 가닥으로 돼 있으며 화학적 합성이 가능하다. 질병을 유발하는 단백질을 없애려고 하는 짧은 서열만 존재하기 때문에 치료제로 개발된다. siRNA 기술이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이유는 다양한 난치성 질환 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는 점이다.

이 대표의 글로벌 위상은 2018년 제5회 유전자 조절 핵산 치료제 국제 컨퍼런스에서 잘 나타난다. 한국에서 올릭스 주최로 개최됐다. 당시 RNA 간섭 분야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석했다. 특히 RNA 치료제 세계 1위 기업 앨라일람(Alnylam Pharmaceuticals)의 무티아 마노하란 수석부사장(Dr. Muthiah Manoharan)이 직접 참여해 이목이 집중됐다. 무티아 수석부사장은 약물전달체 갈낙(GalNAc) 개발에 기여한 RNA 분야 권위자다. RNA 치료제의 발전은 갈낙 개발 전후로 나눠질 정도로 중요한 기술이다.

올릭스는 일찌감치 트라이링크 바이오테크놀로지(Trilink Biotechnologies) 출신의 올리고핵산 합성 전문가도 확보한 상태다. 2019년 올릭스 미국 샌디에이고 현지 랩(Lab)에 합류한 신동원 상무는 미국 캘리포니아대 리버사이드에서 박사학위를 딴후 캘리포니아대 샌디에이고에서 연구과정(Postdoc)을 수료했다. 이후 올릭스 합류전까지 트라이링크 바이오테크놀로지에 입사해 올리고 합성 전문가로 활약한 과학자다.

신 상무는 트라이링크의 5’-캡핑(capping) 원천기술의 기반을 다졌으며, 해당 특허권자(US10519189B2)의 발명자로 게재됐다. 화이자와 모더나 모두 코로나19 mRNA 백신에 트라이링크의 5’-캡핑을 사용 중이다. 트라이링크 5’-캡핑이 글로벌에서 독과점인 이유는 상업화까지 성공한 다른 회사의 제품이 전무하기 때문이다.

이동기 대표는 “올릭스는 연구개발(R&D)에 포커스를 두는 회사로 나아갈 계획이다. 회사의 기술이 정말 괜찮으면 글로벌 회사가 알아서 찾아오게 된다. 실제로 지난해 일어났던 딜들이 그랬다”면서 “올해부터는 지금까지 확보한 올릭스의 독보적인 기술력과 개발력을 바탕으로 매년 최소 두 개의 신규 프로그램이 임상에 진입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세우겠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전사적으로 노력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유림 (urim@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