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동우 교수의 영어 이야기] 영어는 '목적어+주어' 어순 허용 않지만..명사구가 길어질 땐 문장 뒤로 외치 시키죠

2022. 1. 19. 10: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몇몇 사람들,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루의 많은 시간을 (타인에게) 반응하는 데 쓴다.

하지만 영어를 사용하는 화자들은 한 문장에서 명사구가 길고 후행하는 요소가 짧은 경우, 명사구를 짧게 만들고자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어순이 아닌 영어 문장을 접했을 때, 문장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문장이 원래 어떤 어순을 갖고 있었는지를 추측해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음성재생 설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어순이 아닌 영어 문장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문장이 원래 어떤 어순이었는지 추측해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문장의 의미를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Getty Images Bank
Some people, perhaps most, have a measure of their day that is reactive. Things occur that cannot be predicted, at least individually, and a proportion of the available time is always going to go in this way. Such activity is not automatically unimportant, and the reverse may well be true. For example, a manager on the sales or marketing side of a commercial company may have enquiries and queries coming from customers that are very important and must be dealt with promptly. Sometimes the reaction to this is to believe that, because of this reactive element, it is not possible to plan or to plan effectively. The reverse is true.

《Successful Time Management》중에서
몇몇 사람들,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루의 많은 시간을 (타인에게) 반응하는 데 쓴다. 적어도 개인적으로, 예상치 못한 일들이 일어나며, 주어진 시간의 일부는 항상 이런 식으로 흘러간다. 그러한 활동이 꼭 중요하지 않은 것만은 아니며, 오히려 그 반대인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영리 회사의 판매나 마케팅 쪽의 매니저는 매우 중요하고 신속하게 처리되어야 하는 고객으로부터의 문의 또는 질문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응하는 것 때문에 때때로 계획을 세우거나 효율적으로 계획을 세우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믿게 된다. 그 반대가 옳다.

 해설

영어의 어순은 한국어에 비해 엄격한 편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어의 경우, “제니가 피자를 먹었어”라는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피자를 제니가 먹었어”와 같이 목적어와 주어의 어순을 뒤바꾸는 것이 가능하지만 영어는 일반적으로 목적어가 주어 앞에 오는 어순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영어에서 특정한 환경에서는 어순이 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본문에 있는 “Things occur that cannot be predicted”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 문장은 원래 “Things that cannot be predicted occur”에서 어순이 바뀐 것입니다. 이 문장에서 that cannot be predicted는 things를 수식하는 관계절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명사구인 things that cannot be predicted 다음에 동사인 occur가 위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영어를 사용하는 화자들은 한 문장에서 명사구가 길고 후행하는 요소가 짧은 경우, 명사구를 짧게 만들고자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경향 때문에 things를 수식하는 관계사절을 동사인 occur 뒤로 이동시킨 것입니다. 이처럼 명사구 내부 구성요소를 원래 위치보다 뒤로 이동시키는 현상을 외치(extraposition)라고 합니다.

박동우 한국방송통신대학 영어영문학과 교수

외치의 다른 예로는 “John believed the fact when he was young that the world is flat”이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이 문장에서 that the world is flat은 the fact의 동격절입니다. 그러므로 John believed the fact that the world is flat when he was young이라는 문장으로부터 어순 변화가 있었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또한 “The boss employed some people last week from East Asia”라는 문장에서 from East Asia는 some people을 수식하는 전치사구입니다. 즉, 이 문장은 “The boss employed some people from East Asia last week”라는 문장에서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구 내에 있었던 전치사구가 문장의 맨 마지막으로 이동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어순이 아닌 영어 문장을 접했을 때, 문장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문장이 원래 어떤 어순을 갖고 있었는지를 추측해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문장의 의미를 확실히 알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