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네트웍스 "올 하반기 인적분할 재추진"

양지윤 2022. 1. 18. 17: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신용등급 회복 후 하반기 인적분할을 통해 사업 전문성을 강화시켜 주주가치를 제고시키겠다."

AJ네트웍스(095570)는 지난해 하반기로 잠정 연기됐던 인적분할을 올해 하반기에 재개한다고 18일 공시했다.

지난해 자회사 매각 등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으로 인해 인적분할 일정을 미뤘으나 올 들어 조건이 갖춰졌다는 판단에서다.

AJ네트웍스는 올해를 뉴(New) AJ 성장 기반을 다지는 원년으로 삼고 생산성 증대를 통한 수익기반 확보를 위해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용등급 회복 이후 재개
구조조정 성과로 주당 270원 배당 결정
"핵심역량 중심 사업재편..성장·수익성 확보"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올해 신용등급 회복 후 하반기 인적분할을 통해 사업 전문성을 강화시켜 주주가치를 제고시키겠다.”

AJ네트웍스(095570)는 지난해 하반기로 잠정 연기됐던 인적분할을 올해 하반기에 재개한다고 18일 공시했다. 지난해 자회사 매각 등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으로 인해 인적분할 일정을 미뤘으나 올 들어 조건이 갖춰졌다는 판단에서다.

AJ네트웍스 관계자는 “구조조정의 성공적인 마무리로 최근 재무구조가 눈에 띄게 개선됐고 실적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재개 배경을 설명했다.

다만 인적분할 과정에서 신용등급의 불확실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일부 채권투자자의 의견에 따라 현재 BBB+(부정적)인 신용등급을 상반기 중 BBB+(안정적)로 회복시켜 분할 후 자금조달에 대한 우려를 조기에 불식시키고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회사 관계자는 “신용평가사와 협의를 통해 2021년 결산이 완료되는 대로 정기평가 일정을 서둘러 추진할 예정이다”며 “작년 강도 높은 자회사 구조조정으로 2020년 말 36개에 달하던 계열사수가 지난해 3분기 26개로 28% 감소하고 적자 자회사에 대한 지급보증, 대여금 등 재무적 지원이 줄며 자회사 리스크가 감소했다. 또 매각대금으로 차입금을 상환하는 등 재무비율 개선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인 결과 부채비율도 큰 폭으로 낮아졌다“고 강조했다.

실제 AJ네트웍스의 작년 3분기 연결기준 부채비율은 270%, 별도기준 부채비율은 219%다. 지난 2020년 말 연결기준 451%, 별도기준 303% 대비 각각 181%, 84% 감소했다.

아울러 AJ네트웍스는 신년 첫 번째 정기이사회를 개최해 현금배당 안건을 이날 의결했다. 1주당 배당금은 270원(시가배당율 5.0%)으로 지난해 배당금 보다 60원 높은 수준이다. 배당금 총액은 약 121억원 규모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배당금은 사업실적 배당금 220원에 구조조정 성과로 인한 특별배당금 50원이 추가됐다”면서 “오랫동안 회사를 믿고 지지해 준 주주들과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AJ네트웍스는 올해를 뉴(New) AJ 성장 기반을 다지는 원년으로 삼고 생산성 증대를 통한 수익기반 확보를 위해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 코로나 이후 비대면 비즈니스 환경 조성이 확대돼 상시적인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리모델링 체계를 구축하고 수시로 점검하는 방식이다.

파렛트 사업부는 기존 사업의 점진적 확대와 함께 내부효율성을 높이며 신규 아이템 발굴을 통한 수익성 제고에 나선다. 이미 분할을 염두에 두고 작년부터 독자적으로 조직을 운영하고 있으며 사업계획도 별도의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는 등 만반의 준비를 갖췄다.

IT 사업부는 기존 기업간거래(B2B) 사업에 무인기기 등 신규 아이템으로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예정이다. 또 정부간거래(B2G) 전담팀을 신설하고 조직을 확대해 온라인 교육분야 등 신규 사업분야에 적극 대응하면서 온라인 채널을 통해 아이템을 다양화한다는 전략이다.

건설 사업부는 대내외 경기 회복으로 대규모 인프라 및 공공부문 개발, 대형 반도체 현장 증축 등이 예정된 곳에 중점적으로 고소장비 영업을 강화하고 있으며, 지게차 장기렌탈 강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시장점유율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양지윤 (galileo@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