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용 주택 7만가구 공급..최장 20년까지 거주 가능

유준호 2022. 1. 18. 17: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2026년 목표
'4인 가구' 중심 공공정책 변화
吳 "1인 가구, 삶의 질 높일 것"

서울시가 맞춤형 주택 공급 등을 골자로 하는 1인 가구 지원을 위한 중장기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서울시는 최소 25㎡ 이상 주거 면적이 보장되고 1인 가구 특성이 반영된 맞춤형 주택을 2026년까지 7만가구 이상 공급할 예정이다. 다인(多人) 가구와 어울려 거주할 수 있는 '세대통합형 주택 모델' 개발과 '1인 가구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 서비스'도 시작한다.

18일 서울시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1호 공약인 1인 가구 지원을 위해 시장 직속 전담 조직인 1인가구특별대책추진단을 출범한 데 이어 향후 5년간 추진할 중장기 종합대책을 마련했다"며 "1인 가구의 불편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건강, 안전, 고립, 주거 등 4대 안심 정책에 5조5789억원을 집중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0년 기준 서울시 1인 가구는 139만명으로 전체 가구의 34.9%를 차지했다. 2015년 111만명이었던 서울시 1인 가구는 5년 새 28만명 확 늘었다.

서울시가 마련한 중장기 대책에는 역세권 청년주택 등 1인 가구 맞춤형 주택 공급 계획이 담겼다. 서울시는 청년 1인 가구가 임차료 부담 없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도록 2026년까지 역세권 청년주택 5만7310가구와 청년 매입임대주택 1만1700가구를 추가로 공급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서울의 높은 주거비로 고통 받는 청년 1인 가구가 시세의 90% 이하로 최대 20년까지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주택"이라며 "최소 주거 면적을 14㎡에서 25㎡ 이상으로 확대하고 설치형 가전·가구와 커뮤니티 확대 등 청년이 원하는 수요를 대폭 반영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독립된 주거 공간을 보장하되 공공 인프라스트럭처, 생활형 사회간접자본(SOC), 공동체 프로그램 등을 공유할 수 있는 세대통합형 주택 모델을 개발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청년층과 중장년층 등 다양한 세대의 1인 가구뿐만 아니라 다인 가구도 함께 어울려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을 꾸린다는 계획이다.

이날 오 시장은 서울시청에서 열린 정책설명회에서 "오랜 기간 4인 가구를 기준으로 설계되고 집행됐던 서울시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해 홀로 사는 가구가 느끼는 고통과 불편을 해소하는 동시에 삶의 질을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유준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