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대규모 개발사업에..경기도 땅값 4년새 27% 올라

박준형 2022. 1. 18. 17: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보플랫폼 '지존' 분석
과거 정부 대비 2~4배 올라
"입지 양호한 땅값 너무 올라
주택공급 갈수록 힘들어져"
3기 신도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 대규모 개발 사업으로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경기도 땅값이 이전 정부에 비해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부동산개발정보플랫폼 지존이 경기도 표준지 6만3613필지를 전수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인 2018~2021년 지가가 2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명박정부 집권기인 2009~2013년과 박근혜정부 집권기인 2014~2017년 표준지 지가가 각각 7%, 13% 오른 것에 비하면 2~4배 높은 상승폭이다.

지존 관계자는 "올해 표준지 공시지가가 시세 대비 현실화율이 71.4%에 그칠 것으로 보이고 땅값 상승세를 온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실제 상승률 격차는 더 클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문재인정부에서 추진한 개발 사업 중 경기도 지역에서 지난해 협의 보상을 개시한 공공주택 및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지구(18조8576억원)와 산업단지(9682억원), 도시개발사업(3조142억원) 등에서 총 22조8400억원에 달하는 토지보상금이 풀릴 것으로 추정돼 경기도 일대 땅값은 당분간 계속 오를 전망"이라고 밝혔다.

표준지란 토지가격 산정 기준이 되도록 표본으로 선정해 가격을 평가해 놓은 인근 지역 표준이 되는 토지를 말한다. 1월 1일 기준 단위 면적당 표시하는 가격으로 매년 2월 국토교통부가 발표한다.

지역별로 보면 2018~2021년 하남(42%), 과천(37%), 광명(37%), 성남(32%), 평택(32%) 등 3기 신도시, 산업단지, 도시개발 등 대형 개발 사업 영향을 많이 받은 지역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했다.

반면 파주(13%), 양주(17%), 포천(17%) 등은 상승률 하위에 머물렀다. 문재인정부 들어 파주 등 북한 접경지역은 한때 남북관계 기대감으로 반짝 상승해 주목을 받기도 했으나 이후 남북관계 경색 국면이 장기화되면서 토지시장이 위축된 것으로 분석된다.

개별 토지로는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에 위치한 전원주택 예정 임야가 2018년 ㎡당 8870원에서 2021년 ㎡당 77만3600원으로 87.2배 상승해 가장 많이 올랐다.

건설업계에서는 땅값 상승은 곧 건설원가 상승으로 이어져, 결국에는 시장과 소비자들에게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김세원 내외주건 상무는 "경기도 주요 지역 땅값이 오르게 되면 개발업자들은 싼 땅을 찾아 더욱 외곽으로 나가게 되고, 수지타산을 맞추기 위해 아파트 대신 분양가상한제 규제를 안 받는 오피스텔 등을 지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결국 소비자들은 경기도 외곽에서 아파트보다 주거 환경이 안 좋은 오피스텔 등을 더 제공받게 될 것이라는 뜻이다.

[박준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