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상대편' 유승민 공약 품었다.. "일자리 300만 개 창출"

홍인택 2022. 1. 18. 14: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승민 전 의원께서 정말 훌륭하게도 사회서비스 일자리 100만 개 공약을 미리 주장하셨다. 전적으로 공감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18일 국민의힘 대선후보 경선에 출마했던 유승민 전 의원의 아이디어를 수용한 일자리 공약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당사에서 '일자리 대전환 6대 공약'을 발표하고 "더 좋은 나라를 만들기 위해선 정치인들이 진영논리에 빠져서 유효한 정책과 비전을 놓쳐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李 "청년고용률 5%p 상향" 일자리 공약
실용주의·실사구시 강조하며 중도 겨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18일 서울 영등포구 민주당사에서 일자리 대전환 6대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오대근 기자

"유승민 전 의원께서 정말 훌륭하게도 사회서비스 일자리 100만 개 공약을 미리 주장하셨다. 전적으로 공감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18일 국민의힘 대선후보 경선에 출마했던 유승민 전 의원의 아이디어를 수용한 일자리 공약을 발표했다. '실용주의'를 선거 캠페인 전면에 내세우고 있는 이 후보는 진영이나 저작권을 가리지 않고 좋은 정책이 있으면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겠다는 뜻을 밝혀온 터다. 정책 채택에 있어 진영에 매몰되지 않는 모습으로 중도 표심을 겨냥해 '유능한 경제대통령'이란 이미지를 각인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당사에서 '일자리 대전환 6대 공약'을 발표하고 "더 좋은 나라를 만들기 위해선 정치인들이 진영논리에 빠져서 유효한 정책과 비전을 놓쳐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의 목표는 돌봄과 간병, 보육 등 사회서비스 일자리 100만 개를 포함해 총 30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다.

이 후보는 그러면서 "유승민 전 의원의 '사회서비스 일자리 100만 개 공약을 실사구시 입장에서 과감히 수용했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복지와 성장이 선순환된다"고 전망했다.

일자리 정부와 민간 자금을 포함해 총 135조 원을 투자해 디지털·탈탄소산업 전환을 촉진하면서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게 이 후보의 구상이다. 임기 내 청년 고용률(2021년 44.2%)을 5%포인트 향상시키겠다고 약속했다. 청년 실업자는 많은데 일부 IT 기업들은 구인난을 겪고 있는 '일자리 미스매치'를 해소하고 지역경제를 키우는 '기업도시 2.0프로젝트'도 제시했다. 도시계획에 기업들의 요구를 반영하면서 지역대학을 기업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 기관으로 전환하자는 것이다.

이 후보는 이밖에 비전공자인 청년들도 코딩 등의 기술을 배워 취업할 수 있도록 비용을 보조하는 '국민내일배움카드' 지원금을 2배 늘리고, 교육과 취업을 포기한 청년을 대상으로 1 대 1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공약했다.

아울러 산업 생태계 변화로 기존 산업 노동자들의 충격을 줄이는 것을 주요한 정부의 역할로 꼽았다. 이 후보는 기업이 신산업으로 전환하면 규제 특례와 자금을 지원하되, 일자리 전환과 관련한 의사 결정에는 노동자가 참여하는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유럽연합의 공정전환 계획에 버금가는 한국형 '정의로운 일자리 전환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정부가 벤처 창업과 성장을 돕겠다는 뜻도 밝혔다. 이 후보는 "강력한 투자로 국가대표 혁신기업 3,000개, 유니콘기업 100개와 다수의 데카콘기업(기업가치 100억 달러 이상)을 육성하겠다"며 미래 핵심산업 창업을 돕는 50조 원 규모의 'K비전펀드' 조성을 약속했다. 이를 위해 배당소득에 대한 세율을 낮추는 방안도 거론했다.

홍인택 기자 heute128@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