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北미사일 변호·화물운송 재개..대북기조 불변 확인

조준형 2022. 1. 18. 13: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베이징동계올림픽 개막을 코앞에 두고 이뤄진 북한의 연쇄 미사일 발사에도 중국은 북한에 대한 '전략적 포용' 기조를 재확인하는 양상이다.

북한이 올해 들어 4번째 발사체 발사를 한 17일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의 브리핑 발언은 북한의 무력 시위로 한반도 긴장 지수가 올라간 상황에서 중국의 대북 기조에 변함이 없음을 확인시켰다는 평가가 나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림픽에 찬물' 北 연쇄 발사에도 미국의 압박기조에 '선' 그어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 [중국 외교부 제공]

(베이징=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베이징동계올림픽 개막을 코앞에 두고 이뤄진 북한의 연쇄 미사일 발사에도 중국은 북한에 대한 '전략적 포용' 기조를 재확인하는 양상이다. 북한이 올해 들어 4번째 발사체 발사를 한 17일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의 브리핑 발언은 북한의 무력 시위로 한반도 긴장 지수가 올라간 상황에서 중국의 대북 기조에 변함이 없음을 확인시켰다는 평가가 나온다.

자오 대변인은 16일 이뤄진 북중 화물열차 운행 재개에 대해 질문받자 "양측의 우호적인 협상을 통해 단둥에서 신의주까지 철도 화물 운송이 이미 재개됐다"고 확인하면서 "양국의 정상적인 무역 왕래를 돕겠다"고 부연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에 저촉되지 않는 정상적인 북중 간 무역 거래를 재개하는 것 자체는 법적으로 문제 될 것이 없다.

하지만 안보리 결의 위반에 해당하는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가 잇달아 이뤄지고 미국이 대북 독자 제재에 나선 상황에서 북중 간 화물열차 운행 재개가 갖는 시각적 상징성이 있다는 것이 외교가의 평가다.

거기에 더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운행 재개 사실을 직접 확인하고, 무역 왕래를 돕겠다고 밝힌 것은 북한의 발사를 '도발'로 간주하고 제재 강화에 나선 미국의 행보에 분명히 '선'을 그은 일로 평가됐다.

자오 대변인은 이어 북한의 17일 금년 4번째 발사(북한은 전술유도탄 검수사격시험으로 발표)에 대해 "한반도 정세가 오늘에 이르게 된 데는 이유가 있다"고 말했다.

올해 북한의 1∼3차 발사 때 중국은 "툭하면 제재에 나서는 것은 한반도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13일 외교부 대변인), "관련국들이 성급히 판단하거나 과격한 반응을 보여서는 안 된다"(14일 외교부 대변인)는 등의 반응을 보였는데, 4차 발사 후에는 최근 한반도 주변 정세가 북한의 발사를 야기했다는 취지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을 한 것이다. 이는 북한의 연쇄 미사일 발사를 한미일 등 국제사회의 최근 움직임에 대한 북한의 '납득 가능한' 대응으로 해석한 것으로 비쳤다.

북한 "어제 전술유도탄 검수사격시험 진행"…김정은 불참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이 17일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 추정 발사체는 '북한판 에이테킴스'(KN-24)인 것으로 파악됐다. 조선중앙통신은 18일 "국방과학원과 제2경제위원회를 비롯한 해당 기관의 계획에 따라 17일 전술유도탄 검수사격시험이 진행됐다"고 보도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참관하지 않았다. 2022.1.18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

중국의 대북 제재 완화 요구에 선을 긋는 한편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독자 제재 강화로 대응한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기조, 독자 개발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시험 성공 등 근래 이뤄진 한국의 국방력 강화 등에 대한 북한식 대응이었다는 게 중국의 인식인 것으로 풀이된다.

베이징대 김동길 교수는 18일 "최근 한국의 국방력 강화 흐름,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기조 등에 대한 중국의 인식에 비춰 볼 때, 중국은 북한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미국 편에 서서 대북 비난 대열에 가세할 수는 없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결국 올림픽을 코앞에 둔 시점에 이뤄진 북한의 연쇄 발사가 올림픽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측면이 있음에도 중국은 미국의 대북 압박 기조와 선을 그으며, 북중 관계를 중시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우선 올림픽을 앞두고 북미 갈등의 격화에 따른 한반도 상황 악화를 막기 위한 중국 나름의 대응으로 해석된다.

또 미중 전략경쟁 심화 속에 미국이 대만, 신장(新疆) 문제 등 중국이 '핵심 이익'으로 간주하는 문제에서 중국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는 상황에서 중국은 '북한 카드'를 굳게 지키려 하는 것으로 해석할 여지도 있어 보인다. 결국 미중 전략경쟁의 큰 그림 안에서 북핵 및 북한 문제를 보는 중국의 시각에 변함이 없는 이상 올해 미중관계의 흐름과 북핵 외교 프로세스의 진전 여부는 상호 긴밀히 연계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다.

[그래픽] 최근 북한 발사 미사일 주요 제원 (서울=연합뉴스) 반종빈 기자 = 북한이 17일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 추정 발사체는 '북한판 에이태킴스'(KN-24)인 것으로 파악됐다. 북한은 새해 들어 극초음속미사일(2회)과 이스칸데르(14일), 에이태킴스 등 대남타격용인 신무기들을 기종을 바꿔가며 총 4차례 시험발사 했다. bjbin@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인스타그램 @yonhapgraphics

jhcho@yna.co.kr

☞ 홍천 리조트 10층서 투숙객 2명 떨어져 숨져…친척 사이
☞ 티아라 출신 소연, 9살 연하 축구선수와 결혼…알고 보니
☞ 현역 여군 대위, 집에서 숨진 채 발견…현장에 유서
☞ 모텔로 초등생 불러내 성폭행한 스키강사 긴급체포했지만…
☞ 부친 사후 8년 만에 존재 드러난 대문호의 딸…무슨 사연이
☞ 아기에 고속도로 달리는 차 운전대 잡게한 아빠…재미로?
☞ 조국 딸 조민, 경상국립대병원 전공의 지원 결과는
☞ 도핑 자격정지 쑨양, '라방'서 화장품 팔았는데…
☞ 70대 간호사·노숙자 이유 없는 공격으로 숨져
☞ "안희정 불쌍하더만"…김건희에 사과 요구한 김지은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