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리우드 영화, 전 세계 최초' 한국서 개봉하는 이유

김유림 기자 2022. 1. 18. 13: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테스트 베드'(test bed)란 제조업체 등에서 새로운 제품을 출시할 때 시장의 반응을 확인하기 위한 마케팅 방법 중 하나다.

 지난 2013년 한국을 찾은 '토르: 다크월드'의 제작자 케빈 파이기는 인터뷰 당시 국내에서 최초 개봉하는 이유에 대해 "한국에는 영화 애호가들이 굉장히 많다. 한국은 큰 영화시장이고, 개봉한 영화들이 큰 흥행을 했기에 '어벤져스'에 이어 '토르'도 좋은 반응을 얻을 것 같아 전세계 최초개봉을 결정하게 됐다"고 밝힌 바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9년 10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영화의 전당 야외극장에서 열린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사진=장동규 기자
'테스트 베드'(test bed)란 제조업체 등에서 새로운 제품을 출시할 때 시장의 반응을 확인하기 위한 마케팅 방법 중 하나다. 이 같은 마케팅 기법은 모바일, 게임, 영화, 자동차 등 여러 다양한 부문으로 확장되는 추세다. 특히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가 전세계 최초로 대한민국서 개봉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전 세계적으로 동시 개봉하는 사례는 종종 있다. 하지만 미국보다 한국에서 먼저 개봉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할리우드 대작이 잇따라 한국서 세계 최초로 상영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 '크루엘라' '스파이더맨: 노 웨이홈' '007 노 타임 투 다이'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 등의 공통점은 한국을 최초 개봉 국가로 점찍었다는 점이다. 

세계 어느 나라 못지 않게 커진 한국 영화 시장, 평론가 못지 않은 높은 관객 수준 등도 그 배경들 중 하나다. 부산국제영화제, 전주국제영화제 등 세계적 권위의 영화제도 한 몫을 했다.
지난 2019년 10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영화의 전당 야외극장서 열린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엑시트'(감독 이상근) 오픈토크에 배우들이 자리했다. /사진=장동규 기자
할리우드가 대한민국을 주목하는 배경에는 아시아에서 무시할 수 없는 영화시장이라는 수익 계산이 깔려 있다. 인구 규모에 비해 영화 수요가 높고 멀티플렉스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다. 따라서 입소문을 타고 단기간에 관객을 폭발적으로 모을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 시장을 영화의 성패를 가늠할 '테스트 베드'로 삼고 있는 셈이다. 말 그대로 '한국에서 흥행하면 다른 나라에서도 먹힌다'는 인식이 깔렸다. 

지난 2013년 한국을 찾은 '토르: 다크월드'의 제작자 케빈 파이기는 인터뷰 당시 국내에서 최초 개봉하는 이유에 대해 "한국에는 영화 애호가들이 굉장히 많다. 한국은 큰 영화시장이고, 개봉한 영화들이 큰 흥행을 했기에 '어벤져스'에 이어 '토르'도 좋은 반응을 얻을 것 같아 전세계 최초개봉을 결정하게 됐다"고 밝힌 바 있다.

윌 스미스 역시 자신이 주연한 '애프터어스'가 전세계 최초로 한국서 개봉하는 이유에 대해 "세계 어느 영화 시장보다 한국 영화 산업이 급성장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지난해 12월7일 영화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기자간담회가 열렸다. /사진=소니 픽쳐스 제공
매년 1000만 관객을 돌파하는 한국영화가 나올 만큼 흥행이 지속되고 있다. 여기에 각종영화제에서 여러 한국영화가 작품성을 인정받은 것도 할리우드가 대한민국을 '테스트 베드'로 삼은 이유들 중 하나다.  

앞서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제72회 칸국제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고 '미나리'의 윤여정이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전세계적 신드롬을 낳은 넷플릭스 '오징어게임' 오영수가 미국 골든글로브서 조연상을 수상한 것도 무시할 수 없다. 오영수는 "이제 '세계 속의 우리'가 아니고 '우리 속의 세계'"라는 수상소감을 전한 바 있다. 전세계가 국내 시장을 주목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머니S 주요뉴스]
"다 드러난 허벅지"… 클라라, 다 흘러내리네
"야외에서 뭐하는 짓?"… 치어리더, 너무하네
"이럴수가, 금수저 아냐?"… 프리지아 짝퉁 논란
'새신랑' 장동민, 결혼 한달 만에 아빠된다
"금만 10억 보유" 전원주, 아들 외제차 부술 뻔?
"무릎서 피나는데"… 장원영, 프로아이돌이네
"싸이 감성일 뿐"… 장성규 일베 의혹?
허경영 전화에 고통 호소한 가수 … "제발 그만"
“시집가는 거 아냐”… ‘최진실 딸’ 최준희 면사포?
"지금도 같이 사는 느낌"… 조영남, 윤여정 또 언급?

김유림 기자 cocory0989@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