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1.24일부터 중신용 이상 소상공인, 초저금리로 대출하는 '희망대출플러스' 신청 가능

2022. 1. 18. 13: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와 금융위원회(위원장 고승범, 이하 금융위)는 중신용 이상 소기업·소상공인의 피해회복 지원을 위해 희망대출플러스 총 8.6조원을 1.24(월)부터 신규 공급한다고 밝혔다.

□ 희망대출플러스는 지난해 말부터 지속되고 있는 강화된 거리두기 조치로 누적된 소상공인의 피해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신용도에 따라 1~1.5% 초저금리로 1,000만원까지 대출하는 총 10조원 규모의 정책자금으로, 소상공인 1·2차 금융지원 프로그램 등 타 정책자금을 받은 경우에도 중복해서 신청할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24일부터 중신용 이상 소상공인,
초저금리로 대출하는‘희망대출플러스’신청 가능


 


□ 중신용 이상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시중은행을 통해 8.6조원 규모 초저금리 대출 공급


 


 ※ 저신용 소상공인 희망대출(소진공 융자)은 1.3일부터 시행 중


 


□ ’21.12.27일 이후 ‘소상공인 방역지원금’을 지급받은 86만개사를 대상으로 1~1.5% 금리로 최대 1,000만원까지 대출


 


ㅇ 1.24(월)부터 시중은행 앱(App)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접수하고, 첫 3주(1.24~2.11)간은 출생연도 끝자리 기준 5부제 적용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와 금융위원회(위원장 고승범, 이하 금융위)는 중신용 이상 소기업·소상공인의 피해회복 지원을 위해 희망대출플러스 총 8.6조원을 1.24(월)부터 신규 공급한다고 밝혔다.

 

□ 희망대출플러스는 지난해 말부터 지속되고 있는 강화된 거리두기 조치로 누적된 소상공인의 피해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신용도에 따라 1~1.5% 초저금리로 1,000만원까지 대출하는 총 10조원 규모의 정책자금으로, 소상공인 1·2차 금융지원 프로그램 등 타 정책자금을 받은 경우에도 중복해서 신청할 수 있다.

 

 ※ 희망대출플러스(10조원) : (저신용) 소진공 융자(1.4조원), (중신용) 지역신보 특례보증(3.8조원), (고신용) 시중은행 이차보전(4.8조원)

 

ㅇ 다만, 저신용·중신용·고신용 프로그램 중 1가지만 신청 가능하고, 소진공의 ‘일상회복특별융자’(’21.11.29~)를 지원받은 경우는 추가 신청이 불가하다.

ㅇ 또한, 국세 및 지방세 체납, 금융기관 연체, 휴·폐업중인 사업체와 보증(지역신보)·대출(은행) 제한업종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 중·고신용 프로그램은 정부의 방역조치 이행 등으로 매출이 감소하여 ’21.12.27일 이후 ‘소상공인방역지원금’(100만원)을 지급받은 사업체 중에서,

 

ㅇ 개인신용평점 745 ~ 919점※(나이스평가정보 기준, 구.신용등급 2~5등급)에 해당하는 중신용 소상공인에게는 지역신용보증재단의 특례보증을 통해 운전자금 또는 대환자금*(개인사업자에 한함)을 지원하고,

 

 * 제2금융권(상호저축은행, 캐피탈사, 신용카드사(카드론)) 채무를 1금융권으로 전환

 

ㅇ 개인신용평점 920점 이상※(나이스평가정보 기준, 구.신용등급 1등급) 고신용 소상공인은 시중은행 이차보전을 통해 운전자금 또는 대환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 소상공인 대표자의 개인신용평점은 NICE지키미(www.credit.co.kr) 등을 통해 확인 가능

 

□ 지역신보 및 은행 방문없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시중은행 앱(App) 등*을 통해 비대면 신청·접수를 진행하고,

 

 * (중신용) 9개사 : 국민, 기업,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경남, 대구, 부산
   (고신용) 8개사 : 국민(인터넷可), 기업,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경남, 부산

 

ㅇ 동시접속 분산을 위해 1.24(월)부터 2.11(금)까지 신청 첫 3주간은 대표자 주민등록번호상 출생연도 끝자리 기준 5부제를 운영한다.

 

< 5부제 일자별 신청 대상>

신청일자


1.24(월), 2.7(월)


 


1.25(화), 2.8(화)


 


1.26(수), 2.9(수)


 


1.27(목), 2.3(목),


2.10(목)


1.28(금), 2.4(금),


2.11(금)


출생연도


끝자리


1, 6


2, 7


3, 8


4, 9


5, 0


예시


(출생연도)


’61년, ’76년,


’81년, ’96년


’62년, ’77년,


’82년, ’97년


’63년, ’78년,


’83년, ’98년


’64년, ’79년,


’84년, ’99년


’65년, ’70년,


’85년, ’90년


 

ㅇ ‘대환자금’을 신청하거나, ‘운전자금’을 신청하는 법인사업자, 공동대표인 경우, 비대면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은행* 등 예외적인 경우에는 직접 창구를 방문하여야 하며,

 

 * (고신용) 6개 은행 : SC, 수협, 광주, 대구, 제주, 전북

 

- 대면 신청·접수도 현장에서의 집중도 완화를 위해 첫 3주간(1.24~2.11)은 5부제가 동일 적용된다.

□ 프로그램별 세부 조건은 다음과 같다.

 

중신용 프로그램 : 지역신보 희망플러스 특례보증(3.8조원)

 

- 사업자별 1천만원 한도로 5년(1년거치 4년 분할상환)간 지원하고, 금리는 최초 1년간은 1%, 2~5년차는 협약금리(CD금리+1.7%p)를 적용하며, 보증료(0.8%)는 1년차 전액 면제, 2~5년차는 0.2%p 감면(0.8→0.6%) 하여 지원한다.

 

- 신규 운전자금 대출과 기존대출 대환 모두 신청 가능하며, 대환대상 채무는 3개월 이상 경과한 상호저축은행, 캐피탈사, 신용카드사(카드론)의 신용대출에 한하여 지원한다.

 

고신용 프로그램 : 시중은행 희망플러스 신용대출(4.8조원)

 

- 사업자별로 1천만원 한도로 최대 1년간 지원하고, 금리는 1.5%를 적용할 예정으로 예산 소진시(1,000억원)까지 신청 가능하다.

 

- 신규 운전자금 대출과 기존 대출 대환 모두 신청 가능하며, 대환대상 채무는 신청은행의 기존 대출에 한하여 지원한다.

 

< 중신용 및 고신용 프로그램 비교 >

구 분


희망플러스 특례보증


희망플러스 신용대출


지원대상


<중신용 소상공인>


방역지원금 수급자 &


대표자 개인신용평점 745~919점(나이스)


<고신용 소상공인>


방역지원금 수급자 &


대표자 개인신용평점 920점 이상(나이스)


지원규모


3.8조원


4.8조원


대출기간


5년


1년


대출금리


(1년차) 1.0% 내외(변동)


(2년 이후) CD금리+1.7%p


고정금리 1.5%


보 증 료


(1년차) 전액 면제


(2년 이후) 0.6%


-


대출한도


1천만원


1천만원


대출종류


신규 운전자금 or 대환*


* 상호금융, 캐피탈, 카드사 신용대출


신규 운전자금 or 대환*


* 신청은행의 기존 대출


□ 한편, 최근 정부나 신용보증재단을 사칭한 방역지원금, 특별융자 등 전화상담을 유도하거나 유알엘(URL)을 클릭하도록 하는 보이스피싱(스팸) 문자가 무작위로 발송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ㅇ 궁금하거나 의심스러운 문자를 받았을 경우 지역신보, 은행 등 관계기관으로 연락하여 사실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하다.

 

< 관계기관 연락처(대표번호) >

기관명


연락처


기관명


연락처


비고


신용보증재단중앙회


1588-7365


서울신용보증재단


1577-6119


희망플러스


특례보증


강원신용보증재단


033-260-0000~1


세종신용보증재단


044-865-0550


경기신용보증재단


1577-5900


울산신용보증재단


052-289-2300


경남신용보증재단


1644-2900


인천신용보증재단


1577-3790


경북신용보증재단


054-474-7100


제주신용보증재단


064-750-4800


광주신용보증재단


062-950-0011


전남신용보증재단


061-729-0600


대구신용보증재단


053-560-6300


전북신용보증재단


063-230-3333


대전신용보증재단


042-380-3800


충남신용보증재단


041-530-3800


부산신용보증재단


051-860-6600


충북신용보증재단


043-249-5700


국민은행


1644-0360


(비대면 기업대출)


 


1588-9999


경남은행


1600-8585


희망플러스


특례보증


&


신용대출


신한은행


1577-8000


대구은행


1566-5050


우리은행


1588-5000


부산은행


1588-6200


하나은행


1588-1111


광주은행


1588-3388


기업은행


1588-2588


제주은행


1588-0079


농협은행


1661-3000


전북은행


1588-4477


수협은행


1588-1515


은행연합회


3705-5000


SC제일은행


1588-1599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