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전략핵잠, 6년 만에 괌 입항..북·중 겨냥 '위력시위'

박병수 2022. 1. 18. 11: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태평양 괌에 미국 해군의 전략핵잠수함(SSBN)이 지난주말 입항했다.

전략핵잠수함의 괌 입항은 2016년 이후 처음으로, 미국과의 패권 대결구도를 강화하고 있는 중국을 겨냥한 위력 과시로 해석된다.

미 해군은 전략핵잠수함의 괌 입항에 대해 "미국과 지역의 동맹국 간 협력을 강화하고 미군의 능력과 유연성, 준비태세,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에 대한 지속적인 약속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군의 전략핵잠 ‘네바다’(SSBN 733)가 15일 괌에 입항했다. 출처 미국 해군 누리집

태평양 괌에 미국 해군의 전략핵잠수함(SSBN)이 지난주말 입항했다. 전략핵잠수함의 괌 입항은 2016년 이후 처음으로, 미국과의 패권 대결구도를 강화하고 있는 중국을 겨냥한 위력 과시로 해석된다.

미국 해군은 15일 오하이오급 전략핵잠수함 네바다(SSBN 733)가 괌 아프라항 해군기지에 도착했다고 밝혔다. 워싱턴주 키챕 해군기지를 모항으로 하는 네바다는 트라이던트 Ⅱ D5 핵미사일 20기를 장착하고 있다. 전략핵잠의 괌 방문은 2016년 전략핵잠 ‘펜실베니아’의 방문에 이어 두번째라고 <시엔엔>(CNN)이 전했다.

미 해군은 전략핵잠수함의 괌 입항에 대해 “미국과 지역의 동맹국 간 협력을 강화하고 미군의 능력과 유연성, 준비태세,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에 대한 지속적인 약속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전략핵잠수함은 미군의 3대 핵전력에서 핵심적인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오랜 기간 발각되지 않고 바다 밑에서 은밀히 움직일 수 있는 특성 때문에 핵 선제공격을 당하더라도 살아남아 핵 보복공격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미 해군은 전략핵잠수함이 평균 77일간 바다에서 작전을 수행한 뒤 한 달간 유지 보수에 들어간다고 밝히고 있다.

미군이 이처럼 은밀성을 핵심 능력으로 하는 전략핵잠수함의 행적을 공개하는 것은 드문 일이다. 대만을 둘러싸고 미-중 간 갈등이 높아지고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발사로 긴장이 높아지는 상황을 겨냥한 위력시위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전 미군 잠수함 함장 출신인 토머스 슈거트 신미국안보센터 연구원은 “메시지는 분명하다. 우리가 당신 문 앞에 핵탄두 100여기를 떨어뜨릴 수 있는데, 당신은 그런 줄도 모르고 당하거나 알아도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 해군 자료를 보면, 전략핵잠수함 네바다는 1986년 취항했으며, 25노트(시속 46㎞) 이상의 속도로 움직이고 240m 이상 잠수할 수 있다. 배수량은 물 위에서 16764톤, 물속에서 18750톤이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