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화웨이 배제는 미국 압박 탓, 결국 요금인상"..전 상무장관 폭로

김수현 기자 2022. 1. 18. 11: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국 정부의 화웨이 제재가 미국의 압박으로 부득이하게 내린 결정이었다는 폭로가 제기됐다.

가격경쟁력이 무기인 화웨이 통신장비를 배제하면서 영국 통신사들의 재정 위기가 가중되며 통신요금 인상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주장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빈스 케이블 전 상무장관 "화웨이 제재는 미국 압박 탓" 주장영국 통신사, 높아진 비용 부담 해소 위해 통신료 인상 계획

영국 정부의 화웨이 제재가 미국의 압박으로 부득이하게 내린 결정이었다는 폭로가 제기됐다. 가격경쟁력이 무기인 화웨이 통신장비를 배제하면서 영국 통신사들의 재정 위기가 가중되며 통신요금 인상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주장이다.

18일 유럽전문매체 유랙티브(Euractiv) 등에 따르면 빈스 케이블 영국 전 상무장관은 최근 한 포럼에 참석해 "영국 정부가 화웨이 5G 장비와 서비스를 금지했던 결정은 국가안보와 무관하며 미국의 압박으로 부득이하게 내린 결정"이라며 "영국의 안보 부처가 수차례에 걸쳐 화웨이 장비 및 서비스 사용으로 인한 그 어떤 위험도 없음을 담보했다"고 언급했다.

이어 "만약 영국이 (배제없이) 5G를 이어갔다면 우리는 가장 진보된 기술을 사용하는 국가들의 선두에 있었을 것"이라며 "하지만 그렇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영국은 지난 2020년7월 세계 최대 통신장비업체인 중국 화웨이의 5G 제품과 장비 사용을 금지, 2027년 말까지 기존 구축 장비도 모두 철거해 영국 내 화웨이를 완전 퇴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당시 화웨이 측은 영국 정부의 이 같은 결정으로 통신비 증가, 디지털화 속도 지연, 디지털 격차 등이 심화할 것이라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화웨이 장비를 배제하고 통신 장비를 다른 장비업체로 교체하는 데 수조원의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실제로 영국 내 통신비 인상 움직임은 현실화하고 있다. BT그룹, 버진미디어, 보다폰그룹, 쓰리UK 등 영국의 4대 이동통신사업자는 통신요금 인상을 계획 중이다. 인상 규모는 10% 내외로, 고객과 기업 간 계약 기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예정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통신료 인상이 영국 통신사에 가중된 부담을 모두 해소시키기엔 역부족이라는 의견도 제기된다. 런던의 전문 조사기관 엔더스 어낼리시스 소속 애널리스트 카렌 이건은 "이동통신사들이 고비용의 주파수 경매와 5G 업그레이드 비용은 물론, 화웨이 제재로 인해 추가된 비용과 이통사 자체 운영 비용 증가 등 늘어난 비용을 무한히 감당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송지아, 짝퉁에 이미지 추락…월수입 3억 넘는데 왜?"전 남편이 키운 아들, 애 둘 낳고 버려…미안해 내가 키울까"화이자 4차 접종에도 돌파감염…"오미크론 예방 역부족"스텔라 출신 전율 근황…"떡볶이집서 알바, 돈 벌어 앨범 제작"티아라 출신 소연, '9살 연하' 축구선수 조유민과 11월 결혼
김수현 기자 theksh01@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