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서도 '스텔스 오미크론' 발견..검출국가 7개국으로 늘어

최서윤 기자 2022. 1. 18. 08: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스웨덴 웁살라에서 일명 '스텔스 오미크론'으로 불리는 오미크론 하위계통 검출 사례가 3건 발견됐다고 17일(현지시간) 웁살라 지역방송(SVT Nyheter)이 보도했다.

스텔스 오미크론은 지난달 남아프리카공화국과 호주, 캐나다에서 총 7건 발견된 오미크론 하위계통(BA.2) 변이를 말한다.

이번 변이 검출 사실을 보고한 웁살라 아카데믹 연구소 연구진은 스웨덴 내 더 많은 스텔스 오미크론 감염 사례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문가 "전염성·중증도 판단은 아직 일러"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서울=뉴스1) 최서윤 기자 = 스웨덴 웁살라에서 일명 '스텔스 오미크론'으로 불리는 오미크론 하위계통 검출 사례가 3건 발견됐다고 17일(현지시간) 웁살라 지역방송(SVT Nyheter)이 보도했다.

스텔스 오미크론은 지난달 남아프리카공화국과 호주, 캐나다에서 총 7건 발견된 오미크론 하위계통(BA.2) 변이를 말한다. 오미크론이 가진 일부 스파이크 돌연변이(spike: 69/70del)를 수반하지 않아 S유전자표적실패(SGTF)로는 미검출, 기존 PCR 검사를 통한 오미크론 검출 기법을 교묘히 피한다는 점에서 '스텔스' 오미크론이란 별칭이 붙었다.

이후 덴마크와 노르웨이, 인도 캘커타에서도 발견되면서 검출국은 총 7개국으로 늘었다.

이번 변이 검출 사실을 보고한 웁살라 아카데믹 연구소 연구진은 스웨덴 내 더 많은 스텔스 오미크론 감염 사례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연구소 샘플 담당자인 마츠 마르티넬 연구원은 "이번 발견은 그리 놀라운 일은 아니다. 감염이 많이 이뤄질수록 변이 출현 가능성은 커지기 때문"이라며 "훨씬 더 많은 하위계통 변이들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요한 레너스트란트 웁살라대 미생물학 교수는 "새 변이의 전염력과 중증도를 판단하기엔 아직 이르다"고 말했다.

sabi@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