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찾아가는 안전점검단, 7년간 224건 활동

김근주 2022. 1. 18. 06: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울산시는 '시민콜 기동안전점검단' 출범 이후 7년간 총 224건을 처리했다고 18일 밝혔다.

시민콜 기동안전점검단은 공무원과 민간전문가 등 14명으로 구성됐다.

출범 첫해인 2015년 37건, 2016년 45건, 2017년 31건, 2018년 32건, 2019년 31건, 2020년 22건, 2021년 26건 등 총 224건을 무료로 안전 점검했다.

시민이 안전 위험 시설물을 발견하면 시 안전총괄과로 전화하거나 스마트폰 앱 '안전신문고'로 점검을 신청할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울산시청 [연합뉴스 자료사진]

(울산=연합뉴스) 김근주 기자 = 울산시는 '시민콜 기동안전점검단' 출범 이후 7년간 총 224건을 처리했다고 18일 밝혔다.

시민콜 기동안전점검단은 공무원과 민간전문가 등 14명으로 구성됐다.

첨단 장비 30여 종을 활용해 시민이 안전 문제로 불안해하는 현장을 찾아가 진단하고 해결책을 제시한다.

출범 첫해인 2015년 37건, 2016년 45건, 2017년 31건, 2018년 32건, 2019년 31건, 2020년 22건, 2021년 26건 등 총 224건을 무료로 안전 점검했다.

분야별로는 건축 분야가 총 183건(82%)으로 가장 많았고 토목, 전기·가스 순으로 처리했다.

지난해에는 시민 신고·요청에 따라 동구 전하동 아파트 옹벽과 남구 신정동 노후 건축물에 대한 안전 점검을 하고 보수·보강 방법을 제시했다.

시민이 안전 위험 시설물을 발견하면 시 안전총괄과로 전화하거나 스마트폰 앱 '안전신문고'로 점검을 신청할 수 있다.

민원이나 소송과 연계된 시설물, 피해분쟁이 발생한 공사장, 법적 점검대상 시설물 등 정밀안전진단이 필요한 경우는 신청 대상에서 제외된다.

시 관계자는 "신고를 접수하면 7일 이내 진단 장비와 육안으로 조사한다"고 말했다.

canto@yna.co.kr

☞ 경주서 루지 타던 7세 여아 가드레일과 충돌 숨져
☞ "안네 프랑크 밀고자는 유대인…아버지가 알고도 덮었다"
☞ 70대 간호사·노숙자 이유 없는 공격으로 숨져
☞ '안희정 성폭력 피해' 김지은 "김건희씨, 사과해야"
☞ 도핑 자격정지 쑨양, '라방'서 화장품 94억원어치 판매
☞ "비자 발급해달라" 유승준 두 번째 소송 다음 달 결론
☞ 굴찜 먹다 발견한 커다란 진주…"행운의 징조 되길"
☞ 조국 딸 조민, 경상국립대학교병원 전공의 면접 봤다
☞ '사내 성폭력 파문' 블리자드, 연루 직원 30명 해고·40명 징계
☞ '신태용을 구하라' 인니 축구팬들, 온라인 캠페인 나선 까닭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