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R 체크인·안심콜·체온 측정..이 중에 눈 감고 할 수 있는 게 있습니까

이유진 기자 2022. 1. 17. 21:1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시각장애인, 화면에 바코드 맞추 어려워
안심콜 걸기·접종 스티커도 '무용지물'

“지금 되는 게 맞나요?” 지난 12일 롯데리아 경기 수원역점에서 전자출입명부 인증(QR체크인)을 시도하던 한혜경 디지털시각장애연대 대표가 기자에게 물었다. 주변에는 시각장애인인 한 대표를 도와줄 직원이 보이지 않았고, 매장에는 ‘지금은 셀프계산대 전용 운영시간입니다’라고 적힌 입간판만 놓여 있었다. QR체크인 인증 기기 거치대가 기울어진 탓에 스마트폰 QR코드를 태블릿PC 화면에 비추는 것도 쉽지 않았다. 15초 제한시간이 지나 QR체크인 애플리케이션(앱)이 번번이 꺼졌고, 그때마다 시각장애인용 음성변환 기능을 이용해 앱을 켜는 일을 반복했다. 5분간 공을 들여 성공했지만 ‘인증되었습니다’라는 안내 음성은 매장 음악소리에 묻혀 들리지 않았다.

발길을 돌려 인근 AK플라자 백화점으로 향했다. 출입문에는 ‘대규모 점포 방역패스 의무 적용 안내’ 문구와 함께 전화인증(안심콜) 연락처가 적힌 안내판이 붙어 있었다. 한 대표는 “점자나 음성으로 번호를 안내하지 않는 한 시각장애인이 안심콜을 이용하긴 어렵다”고 했다. 열화상카메라도 문제였다. 그가 “카메라 어디 있느냐”고 물었지만 밀려드는 고객을 상대하던 백화점 직원은 “가까이 가라”는 말만 반복했다. 그러자 한 대표가 너털웃음을 지으며 말했다. “방역패스도 그렇고, 디지털 기기나 앱을 쓸 수밖에 없는 시대가 됐잖아요. 시각장애인도 사회 구성원이란 걸 정부조차 모르는 것 같아요.”

이날은 정부가 식당·카페 등에 적용해온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를 면적 3000㎡ 이상인 대형 매장에 확대 적용한 지 사흘째 되는 날이었다. 방역패스 시행 이후 여러 논란이 있었지만 장애인이 겪는 어려움에 대한 논의는 뒷전이었다. 지난해 12월 기준 전체 등록장애인 263만3000여명 중 시각장애인은 9.6%인 25만2000여명에 달한다.

정부는 방역패스 이용이 어려운 장애인은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해 ‘예방접종 스티커’를 발급받도록 안내했다. 하지만 대부분 시설에 QR체크인이 의무화되면서 매장들은 예방접종 스티커를 활용하지 않는 모습이었다. 한 대표는 “특히 비장애인과 외적으로 차이가 없는 저시력 장애인들이 힘들어한다”면서 “장애가 있는 줄 모르고 ‘시간을 끈다’며 욕을 하거나 항의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아예 외출을 포기한 분들도 있다”고 전했다.

장애인단체들은 방역패스를 설계할 때 장애인들의 입장을 고려했다면 이런 시행착오는 없었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한 대표는 “화면 정중앙에 QR코드를 맞추는 게 아니라 기기 모서리를 맞대게 하거나, 예방접종 스티커에 교통카드처럼 전파식별(RFID) 기술을 적용할 수도 있었을 텐데 아쉽다”고 했다. 심정섭 한국장애인소비자연합 상담실장은 “QR인증 기기 대부분이 비장애인 눈높이에 배치돼 휠체어 장애인들이 어려움을 겪는 사례도 있다”며 “방역패스를 시행할 때 장애인과 노약자를 위한 대안도 함께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유진 기자 yjlee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