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일반 여성들의 '희로애락' 한글로 표현

조성민 2022. 1. 17. 20: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한글박물관 기획전 '내방가사'
내방가사와 함께 유물·잡지 등 260점 전시
시댁과의 갈등·이별이야기 등 애환 생생
격동의 시대 직면한 여성들의 삶도 담겨
12편은 처음 공개.. 14m짜리 '헌수가' 눈길
16일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 ‘이내말삼 드러보소, 내방가사’ 기획전 전경과 출구에 마련된 포토존.
조선 시대 여성들은 어떤 마음으로 살아갔을까. 남성 중심 사회 속에서 조선 시대 여성들은 활동에 커다란 제약을 받았고, 이로 인해 남아있는 역사적 기록도 상대적으로 적다. 부족한 자료들 가운데서도 당시 여성들의 ‘속마음’을 가장 잘 엿볼 수 있는 사료가 바로 ‘내방가사’다.

여성이 지은 가사에 ‘내방’이라는 공간적 명칭이 붙은 이유는 여성의 생활과 경험의 공간이 주로 문 안쪽에서 이뤄졌기 때문이다. 닫힌 공간에 있는 여성은 자신의 문제적 상황을 인식하고, 생각과 감정을 정리하는 데 글쓰기를 활용했다. 내방은 작가의 생활공간이면서 가사의 배경이나 소재가 되는 공간인 것이다. 내방가사는 동시대를 살아가던 여성들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켰고 이를 베껴 쓰거나 고쳐 쓰는 방식으로 널리 퍼져나갔다.

조선 시대부터 현대까지 창작·계승되고 있는 내방가사를 대상으로 한 국립한글박물관 기획전시 ‘이내말삼 드러보소, 내방가사’는 여성이 남긴 한글 기록이라는 점을 앞세워 가사의 노랫말을 본격적으로 다룬 첫 시도다. 내방가사는 조선 시대 정규 교육에서 소외된 여성들이 한글로 자신을 표현하고 삶과 시대를 적극적으로 기록한 문학이다.
조선 후기 남원윤씨(南原尹氏)가 지은 가사 ‘명도자탄사’. 남편을 여읜 슬픔과 안타까움을 담았다. 작가는 남편이 죽은 지 100일 되던 날 ‘명도자탄사’와 유서 아홉 통을 남기고 독을 마시고 자결했다고 전해진다.
◆한글로 꽃피운 여성의 목소리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지난해 12월23일부터 시작해 4월10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1794년 창작된 ‘쌍벽가’부터 21세기에도 여전히 창작되고 있는 90여편의 내방가사와 더불어, 각종 여성 생활사 유물, 여성 잡지, 여성 교과서 등 총 172건 260점의 자료를 선보인다. 전시는 ‘내방 안에서’, ‘세상 밖으로’, ‘소망을 담아’라는 제목의 총 3부로 구성됐다.

1부 ‘내방 안에서’는 여성들이 내방에서 한글을 통해 실로 다양한 감정의 목소리를 뱉어냈음을 보여준다. 자식을 잘 키우고 집안을 일으킨 당찬 여성의 목소리가 있는가 하면 그리움에 사무치거나 창자가 끊어질 것 같은 슬픔을 겪은 여성의 애절한 목소리도 있다. 또 남성 못지않게 성공한 여성들의 이야기나, 시어머니·시누이와 겪는 갈등 등을 통해 당시 여성들이 겪어야 했던 희로애락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2부 ‘세상 밖으로’는 근대와 식민지라는 격동의 시대에 직면한 여성들의 삶과 생각을 마주할 수 있다. 남녀평등과 학교 교육을 주장하는 ‘해방가’, ‘위모사’와 조선 시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여성들의 역사교육 교과서였던 수종의 ‘한양가’를 볼 수 있다. 내방의 문이 열린 근대 시기에 내방가사는 더 활기를 띠며 창작됐다. 3부는 가족이 잘되길 기원하는 여성의 마음과 오늘날에도 변함없이 창작되고 있는 내방가사를 소개한다. 내방가사 속 여성은 모두 누군가의 딸, 누군가의 어머니, 누군가의 할머니였다.
상대방을 조소하는 사연을 섞어 해학미를 띠게 하는 화전가의 내용에 대하여 다시 조롱조의 사연을 섞어 답하는 가사인 ‘반조화전가’. 이러한 가사의 작풍(作風)은 영남지방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형식과 내용의 작품이다.
◆내방가사를 세계기록유산으로

내방가사는 가사문학 가운데서도 가장 늦게 학계의 주목을 받은 만큼 아직 새롭게 다뤄야 할 부분도 많이 남아있다. 이번 전시에는 내방가사에서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남성을 화자로 한 계녀가(시집가는 딸을 가르치는 노래) ‘계녀통론’, 변형된 계녀가류로서 훈계의 말보다 딸을 시집보내는 어머니의 애틋한 마음을 담은 ‘모녀 서로 이별하기 애석한 노래라’, 갑작스럽게 죽은 딸에 대한 슬픔과 그리움을 적은 ‘잊지 못할 내 딸이라’ 등 12편의 새로운 자료가 공개됐다. 한편, 현존하는 가장 긴 길이(14m)의 ‘헌수가’(가족의 안녕을 기원하는 내용)와 내방가사의 백미로 꼽히는 ‘뎬동어미화전가’(네 번 결혼하고 불에 덴 아이를 홀로 키우는 덴동어미의 비극적 삶을 그린 가사) 등도 눈길을 끈다.

한국 여성문화의 중요한 단면을 보여주는 기록물인 내방가사는 남성중심 사회에서 여성이 한글을 활용하여 자신의 삶과 애환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기록유산적 가치를 지닌다. 한국국학진흥원과 국립한글박물관은 2019년부터 내방가사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시키기 위해 협력 중이다.

글·사진=조성민 기자 josungmi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