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붕괴 아파트 설계도면 보니..'가벽'으로 세대 간 지탱

백희연 기자 2022. 1. 17. 19:4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장 노동자 "뛰면 출렁대는 느낌 들었다" 증언
[앵커]

뉴스룸이 새롭게 취재한 내용도 이어서 보도하겠습니다. 저희는 무너진 광주 아파트의 '설계 도면'을 모두 입수해서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애초 설계할 때부터 문제가 있었던 건 아닌지 의심 가는 부분을 발견했습니다. 세대와 세대 사이를 나눈 건 콘크리트 벽이 아니라 이른바 경량벽, 즉, 가벽이었습니다. 이건 방과 방을 나눌 때 주로 쓰는 것이죠. 취재진을 만난 현장 노동자들은 "뛰면 출렁이는 느낌까지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백희연 기자입니다.

[기자]

바닥이 보이지 않을 만큼 수직으로 무너져 내렸습니다.

가로 길이 24m 단면이 칼로 자른 듯 사라졌습니다.

아파트가 완성됐다면 두 세대의 거실과 안방이 들어섰을 공간입니다.

이 두 세대 사이를 가르는 건 이른바 스터드 경량벽이었습니다.

경량벽은 주로 한 세대 안에서 방과 방 사이를 나눌 때 씁니다.

결국 두 세대 거실과 안방 콘크리트 바닥을 지탱한 건 기둥뿐이었습니다.

경량벽은 천장과 바닥 사이에 끼워 넣은 개념입니다.

무게를 버티는 역할은 못 합니다.

그래서 현장 노동자들부터 설계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A씨/현장 노동자 : 세대와 세대 사이 칸막이를 경량으로 한 현장은 여기가 처음이었어요. 뛰면 약간 출렁하는 느낌이 들었어요.]

현대산업개발 측은 "무량판 방식으로 설계됐기 때문에 문제없다"는 입장입니다.

무량판 방식은 현대산업개발이 2004년 서울 삼성동 아파트 건설에 처음 적용한 기술입니다.

일반적으로 천장 무게를 버티는 보를 없앴습니다.

기둥과 철근 콘크리트 바닥으로만 건설합니다.

층고를 높일 수 있고 층간 소음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무게를 견디고 지탱하는 벽이 줄어들기 때문에 시공은 더 세심하게 진행해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무게를 버티는 벽이 더 많았다면 도미노처럼 무너지는 일은 없었을 거라고 말합니다.

[안형준/전 건국대 건축대학장 : 작은 아파트라 할지라도 대부분 (세대 사이엔) 내력벽을 설치하게 되어 있는데 만약 거기 내력벽이 있었다면 이와 같은 붕괴는 막을 수 있지 않았나.]

문제는 사고 아파트 모두 8개 동 가운데 5개 동이 이 구조로 건설했단 사실입니다.

똑같은 구조적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큰 겁니다.

광주광역시는 건물을 모두 철거한 뒤 재시공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영상디자인 : 이정회·신재훈)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