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레이스 복귀 심상정 "결코 멈춰서지 않겠다"

김미경 2022. 1. 17. 19:4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선거운동을 중단하고 칩거했던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가 17일 "결코 여기서 멈춰서지 않겠다"며 선거 레이스에 복귀를 선언했다.

심 후보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가 대선 일정을 멈춘 것은 단순한 지지율 때문이 아니라 선거운동을 하면서 저와 정의당이 손 잡아야 할 분들과의 거리가 아득히 멀다는 걸 깨달았기 때문"이라며 "시민들의 마음을 얻지 못하는 지금의 안타까운 상황에 대해 대체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 어디서부터 변화해야 하는지 침묵 속에서 깊이 성찰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가 17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국민 메시지를 발표하고 있다. 정의당 제공

선거운동을 중단하고 칩거했던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가 17일 "결코 여기서 멈춰서지 않겠다"며 선거 레이스에 복귀를 선언했다. 지난 12일 일정을 중단한 지 5일 만이다. 심 후보 역시 앞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보여준 것과 마찬가지로 덩치를 줄인 '슬림 선거대책위원회'로 현 난관을 타개하겠다는 카드를 내놨다.

심 후보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가 대선 일정을 멈춘 것은 단순한 지지율 때문이 아니라 선거운동을 하면서 저와 정의당이 손 잡아야 할 분들과의 거리가 아득히 멀다는 걸 깨달았기 때문"이라며 "시민들의 마음을 얻지 못하는 지금의 안타까운 상황에 대해 대체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 어디서부터 변화해야 하는지 침묵 속에서 깊이 성찰했다"고 말했다.

그는 "'노동이 당당한 나라', '정의로운 복지국가' 만들겠다고 약속드렸고, 지난 진보정치 20년, 그 약속을 지키기 위해 혼신을 다했으나 결과적으로 우리 사회의 불평등은 더 극심해졌다"면서 "저와 정의당은 이를 막아내지 못했다"고 했다. 그는 "남탓하지 않겠다. 이 모든 것이 거대양당의 횡포 때문이라고 말하지 않겠다"면서 "당이 작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고 말하지 않겠다. 억울하다고 말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저는 이 불평등과 차별의 세상을 만든 정치의 일부"라며 "무한한 책임을 느낀다"고 사과했다.

그는 "약자들의 삶을 개선하는 정치를 하고 싶었다. 그 소명을 이루고자 선거제도 개혁에 모든 것을 걸고 나섰지만 성공하지 못했다"며 "그 과정에서 진보의 원칙이 크게 흔들렸다. 뼈아픈 저의 오판을 겸허히 인정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험한 길을 이어갈 후배 진보 정치인들이 또다시 절벽에서 시작하는 막막함을 느끼지 않도록 저 심상정의 마지막 소임을 다하겠다"며 "대선에서 국민들께 심상정과 정의당의 재신임을 구하겠다"고 말했다.

심 후보가 말한 오판은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등 실패로 끝난 선거제도 개혁과 조국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한 정의당의 이중적 태도 등으로 해석된다. 그는 "조 전 장관 문제에 대해서는 여러 차례 입장을 밝혔다.

선거제도 개혁이 성공하지 못하고 오히려 진보의 큰 원칙과 가치만 흔들리는 결과가 됨으로써 진보정치를 성원하고 또 진보정치가 성장하기를 바랐던 많은 분들이 실망했다"며 "아직 그 믿음이 다시 돌아오지 않았다는 것을 이번 선거 과정에서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선거를 앞으로 어떻게 치를 것인가에 대해 말씀드릴 기회가 있을 것"이라며 "당의 공식 선대위는 해산했고, 집행부 중심으로 슬림하게 구성해서 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번 선대위 구성에서 외부 인사 영입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외부 인사들의 결합이나 합류는 다른 방식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경제정책이 부족하다는 평가에 대해 "대한민국 경제의 동력과 관련해 '그린 노믹스'라는 오랫동안 숙고한 경제정책을 발표했다"며 "앞으로 조금 더 이런 경제정책과 관련된 토론 기회나 기회를 갖겠다"고 했다. 진보정치 과제에 대해선 "이번 대선에서 살려내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숙고해야 할 시대 정신은 노동, 기후위기, 불평등과 차별"이라며 "3대 시대적 과제와 관련된 주체들의 목소리를 최대한 키워내는 게 소명"이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the13oo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