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 15년 만에 연속 기준금리 인상..주식·부동산 줄줄이 하락?

김날해 기자 2022. 1. 17. 15:39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경제현장 오늘 '집중진단' -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

한국은행이 다시 한번 기준금리를 인상함으로써 기준금리는 22개월 만에 코로나19 직전 수준으로 돌아갔는데요. 경제 회복의 속도보다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더 빠른 것은 아닌지 우려도 없진 않습니다. 금리인상으로 증시와 부동산 등 자산시장에 어떤 파장이 올지 하나씩 분석해보겠습니다. 한지영 키움증권 투자전략팀 연구원,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 모셨습니다.

Q. 한국은행 0.25%P 금리인상, 이례적인 연속 인상인데요. 두 분은 각각 증시와 부동산에 금리인상이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시는지, 개괄적인 전망부터 들어보겠습니다.

Q. 증시 상황부터 좀 자세히 진단해보겠습니다. 역대 금리 상승기에 주가가 어땠는지요, 과거 데이터에 비춰보면 어땠습니까?

Q. 부동산은 어떨까요? 과거 금리 인상기와 부동산 시장의 상관관계는 어땠습니까?

Q. 많은 주식 투자자분들이, 금리 상승과 내가 보유한 주식 사이의 직접적인 영향을 궁금해하실 텐데, 상대적으로 타격을 많이 받는 업종이 있다면 어떤 걸까요?

Q.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FRB도 3월에 테이퍼링이 끝나면 본격적으로 금리를 올리기 시작할 텐데요. 시장이 어떤 반응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Q. 다시 부동산 시장으로 넘어가서, 정부는 일단 금리인상이 확실한 집값 대세 하락에 쐐기를 박는다고 보는 것 같아요. 하지만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이 부동산 수요를 누를 정도인가, 아닌가는 의견이 좀 분분하던데요?

Q. 그렇다면, 이렇게 본격적인 금리 인상기에 접어든 상황에서 주식 투자 전략은 어떻게 세워야 하는 걸까요?

Q. 많은 분이 최근 집값 상승 둔화 상황을 일시적인 것이냐, 아니면 확실한 대세 하락이냐 이 부분에 관심을 가지는데요. 어느 쪽이든 확실해지는 어떤 시그널이 있을까요? 역시 강남이 바로미터일까요?

Q. 그렇다면, 올해 집을 사려고 계획하셨던 분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어떤 상황들과 지표들을 좀 면밀히 지켜보고 판단해야 할까요?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돈 세는 남자의 기업분석 '카운트머니' [네이버TV]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