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대체 효과' 오피스텔 가격 1%↑..중대형은 3.8% 상승

박종화 2022. 1. 17. 14: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4분기 오피스텔 가격이 1% 넘게 상승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4분기 전국 오피스텔 매매 가격은 전(前) 분기 대비 평균 1.03% 상승했다.

아파트 대체 효과가 큰 전용면적 85㎡ 초과 오피스텔 가격(3.82%)이 가장 많이 올랐고 전용 60~85㎡ 2.77%, 전용 40~60㎡ 1.39%, 전용 40㎡ 이하 0.46% 등 오피스텔 크기가 작아질 수록 가격 상승률도 낮아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도권 오피스텔이 상승세 견인
대구 오피스텔은 나홀로 하락
수익률은 3분기보다 낮아져
[이데일리 박종화 기자] 지난 4분기 오피스텔 가격이 1% 넘게 상승했다.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 추이와 상승률. (자료=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4분기 전국 오피스텔 매매 가격은 전(前) 분기 대비 평균 1.03% 상승했다. 3분기 조사(0.99%)와 비교하면 오름폭이 더 커졌다.

이러한 상승세는 수도권 오피스텔이 주도했다. 지역별로 보면 인천(1.64%)과 경기(1.25%), 서울(1.04%), 대전(0.48%) 순으로 오피스텔 가격 상승률이 높았다. 아파트값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대체재인 오피스텔 가격까지 덩달아 올랐다는 게 부동산원 분석이다. 조사 대상 지역 중 대구(-0.21%)에선 오피스텔 가격이 지난 조사보다 하락했다. 최근 대구 지역 아파트값이 하락세로 전환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오피스텔 크기별 변동률을 봐도 아파트와 상관관계가 뚜렷하다. 아파트 대체 효과가 큰 전용면적 85㎡ 초과 오피스텔 가격(3.82%)이 가장 많이 올랐고 전용 60~85㎡ 2.77%, 전용 40~60㎡ 1.39%, 전용 40㎡ 이하 0.46% 등 오피스텔 크기가 작아질 수록 가격 상승률도 낮아졌다.

오피스텔 전셋값과 월세 시세는 3분기 대비 각각 0.84%, 0.44% 상승했다. 아파트 전셋값 상승과 공급 부족 여파가 오피스텔 전·월세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게 부동산원 설명이다.

오피스텔 임대 수익률은 4.73%로 집계됐다. 3분기(4.75%)보다 0.02%포인트 낮아졌다. 오피스텔 임대 수익률은 수도권(4.56%)보다 비수도권(5.39%)에서 더 높았다.

부동산원 표본을 대상으로 조사한 오피스텔 전국 평균 가격은 12월 말 기준 2억1581만원이다. 수도권은 2억3075만원, 비수도권은 1억5408만원으로 조사됐다.

박종화 (bell@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