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변신 귀재' 바이러스 vs '방어 천재' 인간

고기완 2022. 1. 17. 10: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over Story
사진=EPA연합뉴스


우리가 코로나 바이러스와 백신(vaccine) 문제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다양한 지식을 가져야 합니다. 우리 몸의 면역체계도 간단하게 알아야 하고, 바이러스와 다양한 생명체 간에 벌어지는 군비 경쟁도 알아둘 필요가 있죠.

 선천면역, 후천면역 그리고 공생

우리 몸은 복잡한 면역체계를 진화시켜 왔습니다. 다른 동물들도 마찬가지죠. 바이러스, 박테리아, 세균은 생명체를 끊임없이 공격했고, 생명체들은 거기에 맞춰 다양한 면역시스템을 업그레이드했습니다. 이런 공격과 방어를 ‘진화적 군비 경쟁’이라고 합니다. 어떤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세균은 경쟁하느니 차라리 공생하자면서 우리 몸 안에 들어와 정착하기도 했답니다.

우리 몸이 외부 바이러스 등에 노출되면 두 가지로 대응합니다.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선천(inmate)면역 시스템이 1차 방어 무기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코로 들어오면 코는 코점막(상피세포), 점액질, 대식세포 등으로 저지합니다. 바이러스를 잡아먹는 거죠. 마스크가 도움이 되죠. 이 단계에서 방어되면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선천면역이 무너져 바이러스가 기관지와 폐로 넘어가면 후천(adaptive)면역 시스템이 2차 방어를 선포합니다. 열이 나고, 기침이 동반되죠. 우리 몸의 B세포들이 항체를 만들어 대항하거나 T세포들이 바이러스를 잡아먹습니다.

 바이러스 변이와 백신

바이러스는 끊임없이 변합니다. 변신의 귀재이죠. 바이러스가 정복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백신이나 치료제를 만들려고 인간이 자원을 투입하면, 바이러스는 그 사이 변신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제약사들은 백신을 만들려고 하지 않습니다.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 때 백신을 못 만든 이유도 변이 때문입니다. 인류가 그많은 돈을 들이고도 에이즈(AIDS) 바이러스 백신을 못 만든 까닭도 동일합니다.

백신은 선천·후천면역과 달리 인공적인 면역 방법입니다. 백신은 라틴어로 소를 뜻하는 vacca에서 나왔습니다. 얼굴에 흉터를 남기는 천연두는 소가 옮기는 전염병이었는데요. 소 젖을 짜는 여자는 천연두 전염병 환자를 간호해도 병에 걸리지 않았어요. 그걸 안 영국 사람 에드워드 제너는 실험을 통해 종두법을 만들었어요.

 집단면역, 접종자와 미접종자

백신 접종에 적극적인 사람, 소극적인 거부자가 있습니다. 접종에 참여한 사람들은 우리가 코로나를 빨리 없애려면 모두가 백신을 접종해서 집단면역 단계로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집단면역 옹호자들은 “면역은 사적인 계좌인 동시에 공동의 신탁계좌”라며 “미접종자들은 집단면역이라는 버스에 공짜로 올라타려는 ‘무임 승차자’일 수 있다”고 비판합니다.

사진=EPA연합뉴스


질병관리청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선 백신 접종자가 미접종자보다 훨씬 많습니다. 1, 2차 접종자는 전체 인구 대비 84.1%입니다. 18세 이상 성인 중에서는 94.5%, 60세 이상은 94.9%가 2차 접종을 완료했어요. 안 맞은 사람이 250만 명 정도 된다고 합니다. 다수를 위해 소수에게 접종을 강요해야 하는지 논란입니다. 이것은 마치 마이클 샌들의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책에 나오는 ‘기차와 사람 충돌’ 딜레마와 비슷합니다. 여러 사람을 구하는 것이 옳은지, 한 명이라도 희생시켜선 안 되는 것인지 하는 문제죠. 부작용으로 혹여 사망하는 사람이 생기더라도 사회 구성원 다수를 위해 다 맞도록 해야 할까요, 아니면 부작용을 우려하는 사람은 스스로 선택해 안 맞아도 되게 해야 할까요.

 영국, 미국, 네덜란드, 중국

지구촌에는 마스크 의무화나 백신 접종 의무화를 하는 나라와 하지 않는 나라가 공존합니다. 영국은 마스크를 벗은 대표적인 나라입니다. 프리미어리그 축구 경기장을 보면 마스크를 벗고 응원합니다. 미국은 주마다 다릅니다. 플로리다는 마스크를 벗도록 하고 있죠. 미국에선 백신 의무화를 반대하는 주들이 연방정부를 상대로 소송 중입니다. 네덜란드와 프랑스에선 백신을 강제한 정부에 항의하는 집회가 열리기도 했습니다.

중국에선 곧 있을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위해 코로나 감염 도시인 시안(西安)을 몇 주째 완전 봉쇄한 상태입니다.

고기완 한경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위원

 NIE 포인트

1. 생물계에서 나타나고 있는 ‘군비 경쟁’의 사례 세 가지를 찾아보자.

2. 백신을 만들기가 왜 어려운지를 바이러스 변이의 관점에서 설명해보자.

3. 종두법을 개발한 에드워드 제너라는 인물을 찾아보고 그가 만든 종두법이 어떻게 작동했는지를 알아보자.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