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과 BNK의 4위 대결, 누가 마지막에 웃을까?

남정석 2022. 1. 17. 09: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KB스타즈가 16일 정규리그 2위를 달리고 있는 신한은행을 76대60으로 대파하고 우승 매직넘버를 '2'로 더 줄이게 됐다.

따라서 이제 남은 것은 두 팀이 벌이는 2위 싸움, 그리고 삼성생명과 BNK썸이 펼칠 4위 싸움이다.

지난 시즌에는 4위 삼성생명이 플레이오프에서 1위 우리은행을, 그리고 챔피언 결정전에서 KB스타즈를 차례로 꺾는 파란을 일으키며 챔프전 우승이란 '언더독의 반란'을 완성시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7일 부산사직실내체육관에서 BNK썸과 삼성생명이 시즌 4번째 맞대결을 펼치고 있다. 사진제공=WKBL

KB스타즈가 16일 정규리그 2위를 달리고 있는 신한은행을 76대60으로 대파하고 우승 매직넘버를 '2'로 더 줄이게 됐다.

그동안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의 1위 도전은 '언감생심'으로 여겨졌지만, 이날 경기로 사실상 가능성이 0%에 수렴하게 됐다. 따라서 이제 남은 것은 두 팀이 벌이는 2위 싸움, 그리고 삼성생명과 BNK썸이 펼칠 4위 싸움이다. 공교롭게 똑같은 승률로 공동 2위와 4위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아직 8경기씩 남아 있는 상황이라 여전히 그 최종 결과를 예측하긴 힘들다.

이 가운데 더 흥미를 모으는 경쟁은 당연히 4위 싸움이다. 예년과 달리 지난 시즌부터 정규리그의 흥미를 끝까지 유지하기 위해 4위까지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자격을 부여했는데, 2년 연속 제대로 효과를 보고 있는 셈이다. 지난 시즌에는 4위 삼성생명이 플레이오프에서 1위 우리은행을, 그리고 챔피언 결정전에서 KB스타즈를 차례로 꺾는 파란을 일으키며 챔프전 우승이란 '언더독의 반란'을 완성시켰다. 이어 올해는 KB의 독주가 이어지는 가운데, 2위권과 4위권의 승차가 더욱 크게 벌어진 상황이라 더욱 그렇다.

더 재밌는 점은 4위 싸움이 '사제 대결'이란 것이다. 박정은 BNK 감독은 삼성생명 한 팀에서만 선수 생활을 한 프랜차이즈 스타인데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코치를 지내며 임근배 삼성생명 감독과 호흡을 맞췄다. 친정팀을 반드시 제쳐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겠지만, 냉혹한 승부의 세계에선 어쩔 수 없는 상황이다.

올 시즌 맞대결 성적은 2승2패로 호각지세다. 초반 2경기는 삼성생명이 가져갔지만, 후반 2경기는 기세가 오르기 시작한 BNK가 승리했다. 17일 열리는 시즌 5번째 맞대결이 무척 중요할 수 밖에 없다.

현재 분위기는 BNK가 훨씬 좋다. BNK는 최근 6경기에서 3승3패로 5할 승률을 올렸고, 이 과정에서 3연승도 거뒀다. 반면 삼성생명은 6연패에 빠져 있다. 15일 우리은행전에서 4쿼터 막판까지 앞서가다 동점을 허용했고, 연장전에서 패한 것에서 보듯 무기력한 경기력은 아니지만 승부처 접전을 못 버텨내고 있다. 배혜윤 정도를 제외하곤 베테랑이 없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김한별과 강아정 등 두 노장을 영입, 예년보다 확실히 승부처 싸움이 강해진 BNK와는 대비를 이루고 있다.

간절함 면에서도 BNK가 더 앞선다. 창단 첫 플레이오프 진출을 목전에 두고 있다는 것이 강한 동기 부여가 되고 있다. 처음으로 사령탑을 맡은 박 감독의 의욕도 상당하다.

반면 삼성생명은 지난 시즌 예상치 못한 챔프전 우승이라는 큰 선물을 안았기에 감흥은 좀 덜한 것이 사실이다. 임 감독 역시 "4위를 반드시 지키겠다는 것보다는 경험이 적은 우리 선수들의 성장이 더 중요하다. 넓은 의미에서 '리빌딩'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대한 큰 욕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하지만 산전수전을 다 겪은 베테랑 감독의 '허허실실'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젊은 선수들에게 큰 부담감을 지우지 않고 제 플레이를 하게 하면서도, 경기 중에는 약속된 플레이를 하지 않은 선수들에게 일일이 작전 지시를 하며 디테일을 챙기는 부분에서 잘 나타난다. 선수를 성장시키는데 최고의 경험은 체력과 정신력을 한계까지 끌어올려야 하는 포스트시즌이기 때문이다.

17일 대결에 이어 FIBA 여자농구 월드컵 최종 예선으로 한 달여의 휴식기를 가진 후 두 팀은 3월 17일 시즌 최종 맞대결을 펼칠 예정이다.

남정석 기자 bluesky@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

- Copyrightsⓒ 스포츠조선(http://sports.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소희, 팔에 새겼던 타투 싹 제거..앙상하고 새하얀 팔뚝
“싫다 못해 질려버렸다” 설현, 무슨 일 있나? 의미심장 SNS 게재
'故 최진실 딸' 최준희, 이제 의상도 과감…볼수록 母 판박이
'전현무♥' 이혜성 41kg 글래머인데 “외모 강박 폭식증”
'상간녀 논란' 황보미 “유부남인줄 몰랐다..아내분과 오해 풀어”
'송자호와 결별' 박규리, 무슨 일? 의미심장 SNS “인류애의 상실”
임영웅, '존재 자체가 레전드'인 트로트 男 스타 '500만원 기부'
이런 선풍기는 없었다. 선풍기인가? 에어컨인가?
'비거리' 최대! 믿고 치는'드라이버' 전세계 최저가! 10자루 한정!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