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미군기지 사령관 한국인 아내, 美 입양 46년만에 가족과 재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6일 미군 기관지 성조지는 "경기 평택시 험프리스 미군 기지 사령관의 아내가 생후 6개월 때 입양된 한인이며 46년만인 지난해 가족과 '감동적인 재회'를 나눴다"고 보도했다.
그레이브스 사령관은 "이건 아내에게 매우 특별했던 순간"이라면서 "아내가 나와 만나지 않았더라면 한국으로 돌아오고 가족을 만날 기회가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성조지는 "타라 그레이브스는 남편인 세스 그레이브스 사령관의 근무지 이동에 따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지난해 처음으로 한국으로 입국했다"고 전했다.
타라 그레이브스는 1975년 생후 6개월에 미국으로 입양된 뒤 미국 미네소타에서 자랐다. 16살 때 친모와 연락이 닿아 사진과 편지를 교환했고 친모에게 자신을 입양 보낸 이유도 물었다. 그러나 친모는 직접 만나 한국어를 배울 것을 요구했다. 그레이브스는 2년 뒤부터 편지를 보내지 않았다고 한다.
세스 그레이브스 사령관은 아내와 한국 가족들은 서로 만나기를 기다렸고 만남은 "매우 감동적"이었다고 말했다.
이 만남에서 그레이브스는 형제자매들로부터 부모의 이혼 뒤 부친에게 맡겨진 과정에서 미국으로 입양된 자신의 입양 과정을 전해 들었다.
당시 동생들을 돌봤던 그레이브스의 오빠인 장남 김모씨는 "어느날 갑자기 그레이브스가 사라졌지만 부모님은 아무런 대답도 해주지 않았다"며 "마음이 안좋으면서도 잘 먹고 잘살 수 있는 미국으로 입양 가는 편이 더 낫다는 생각도 했다"고 했다.
그레이브스는 "오빠인 김씨가 처음 자신을 만났을 때 용서를 구했다"며 "그가 용서를 구할 이유는 없지만 그에게 내 용서는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었다"고 말했다.
그레이브스 사령관은 "이건 아내에게 매우 특별했던 순간"이라면서 "아내가 나와 만나지 않았더라면 한국으로 돌아오고 가족을 만날 기회가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클럽에서 만나 속도위반 결혼, 신혼여행 후 남편이..
- "9년 전 5개월 만난 전 여친이 몰래 혼인신고…현 여친은 파혼 선언"
- "합기도 관장이 나를 눕히더니.." 초등생의 충격 메모
- 머리 새하얘진 男배우의 고백 "친구 사망 이후에.."
- 김새론, 강남 주점 알바 목격담…"굉장히 친절하고 능숙했다"
- 부안 변산반도 하섬에 브라이드 고래 사체…멸종위기종
- 1020세대가 심상치 않다, 이러다가 대한민국이...
- 필리핀 노동자의 '코리안 드림'.. 공사판 떠돌며 번돈으로 '정치 인생길'
- 女후배에 호감있던 선배, 집 현관문 앞에서 몰래...
- "멈춰요" 막아섰는데 트럭이 그대로 덮쳐.."아내를 잃었어요"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