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클로 회장 "우리 경쟁자는 빅테크"

박주연 2022. 1. 16. 18: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의류·패션 브랜드 유니클로를 운영하는 일본 기업 패스트리테일링이 빅테크와의 전면 경쟁에 나섰다.

디지털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경력직 채용 직원의 연봉 상한을 최대 10억엔(약 104억원)으로 올리기로 한 것이다.

야나이 회장은 "앞으로 (유니클로의) 경쟁 상대는 의류업체 자라(ZARA)가 아니라 GAFA(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가 될 것"이라며 "디지털 인재를 활용해 의류 사업의 수익모델을 바꿔 빅테크와 경쟁하겠다"고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인재에 최대 10억엔 연봉

의류·패션 브랜드 유니클로를 운영하는 일본 기업 패스트리테일링이 빅테크와의 전면 경쟁에 나섰다. 디지털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경력직 채용 직원의 연봉 상한을 최대 10억엔(약 104억원)으로 올리기로 한 것이다.

16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야나이 다다시 패스트리테일링 회장은 새로운 사업모델을 만들 인재를 세계에서 모으기 위해 올해부터 경력직으로 뽑는 직원의 연봉으로 최대 10억엔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야나이 회장 연봉의 2.5배로 일본 기업 경력직 채용자 평균 연봉의 200배를 넘는 수준이다. 취업 사이트 마나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을 기준으로 일본에서 경력직으로 채용된 사람의 첫해 연봉은 평균 453만엔, 의류를 포함한 유통·소매·음식 업종의 연봉은 406만엔으로 조사됐다.

야나이 회장은 “컨설턴트나 대기업 출신이 아니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사업을 백지 상태에서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을 구할 계획”이라며 “나보다 우수하고 천재적인 능력을 갖춘 인재가 있으면 100~200명이라도 뽑겠다”고 했다.

이 같은 파격적인 임금 인상은 빅테크와의 인재 유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전자상거래를 통한 의류 판매가 늘어났고 구글을 포함한 빅테크들이 전자상거래 분야를 강화하는 등 경쟁이 치열해졌기 때문이다. 야나이 회장은 “앞으로 (유니클로의) 경쟁 상대는 의류업체 자라(ZARA)가 아니라 GAFA(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가 될 것”이라며 “디지털 인재를 활용해 의류 사업의 수익모델을 바꿔 빅테크와 경쟁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주연 기자 grumpy_cat@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