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국가채무 2000만 원 눈앞..나랏빚, 더 늘어날 일만 남았다

조해동 기자 2022. 1. 16. 16:4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서 10차례 추경, 국가채무 5년간 400조 원 넘게 늘어

올해 안에 국민 1인당 국가채무가 2000만 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코로나19 위기 등으로 최근 몇 년 새 나랏빚이 큰 폭으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1987년 민주화 이후 정부 중 가장 많은 10번의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편성하게 된 문재인 정부에서는 국가채무가 5년간 400조 원 넘게 늘었다.

올해 코로나19 확산세와 대통령 선거 등 정치 일정에 따라 추경이 또 편성되면 국가채무는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저출산·고령화로 장기적인 재정 건전성 악화도 불가피하다.

16일 국회 예산정책처 국가채무시계에 따르면 현시점 국민 1인당 국가채무는 1861만 원이다. 이는 중앙정부 채무와 지방정부 순채무를 더한 국가채무(D1) 예측치를 주민등록인구로 나눈 수치다.

1인당 국가채무는 올해 2000만 원 돌파가 확실시된다. 올해 본예산 기준 국가채무는 1064조4000억 원으로 1000조 원을 처음으로 넘어선다.

여기에 올해 1차 추경 편성을 위해 발행할 10조 원 이상의 적자 국채를 고려하면, 올해 국가채무는 최소 1074조4000억 원에 달하게 된다. 이를 지난해 주민등록인구로 나누면 올해 1인당 국가채무는 2081만 원까지 증가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1인당 국가채무는 2014년 1039만 원으로 처음 1000만 원을 돌파한 뒤 2015년 1148만 원, 2016년 1213만 원, 2017년 1275만 원, 2018년 1313만 원, 2019년 1395만 원으로 늘었다.

2020년에 전년보다 17.1% 급격히 증가해 1633만 원까지 올라선 1인당 국가채무는 이후 매년 10% 넘는 증가율을 이어간 끝에 2022년 2000만 원을 넘게 됐다.

2020년 이후 국가채무가 빠르게 늘어난 것은 코로나19 위기 영향이 크다. 방역과 소상공인 피해 지원 등에 재정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적자 국채 발행량이 크게 늘었다.

문재인 정부는 지금까지 코로나19 위기 중 추경 6차례를 포함해 총 9차례의 추경을 편성했다.

2017년에는 일자리·민생 안정 지원을 위한 11조 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했고, 2018년에는 청년 일자리와 위기 지역 지원 명목의 3조9000억 원의 추경을 짰다.

2019년에도 미세먼지와 경기 대응, 강원 산불·포항 지진 피해 지원을 위해 5조8000억 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했다.

이후 2020년에는 코로나19 위기 극복과 소상공인 지원 등을 위해 1차(11조7000억 원), 2차(12조2000억 원), 3차(35조1000억 원), 4차(7조8000억 원) 등 4번 추경을 했다. 이 중 2차 추경으로는 전 국민 재난지원금을 지급했다.

2021년에는 1차(14조9000억 원) 추경으로 소상공인 지원금을 줬고, 2차(34조9000억 원) 추경으로는 소상공인 지원금과 함께 소득 하위 80% 국민에게도 지원금을 지급했다.

정부가 이번에 편성 방침을 밝힌 올해 1월 추경까지 포함하면 문재인 정부의 추경은 총 10차례가 되는데, 이는 민주화 이후 정부 중 가장 많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2017년 660조2000억 원이던 국가채무는 5년간 400조 원 넘게 늘어 임기 마지막 해인 올해 본예산 기준으로만 1064조4000억 원을 찍게 됐다.

대규모 감염병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나랏빚이 어느 정도 늘어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지만, 더 큰 문제는 앞으로도 빚이 늘어날 일만 남았다는 것이다.

코로나19가 변이를 거듭하면서 위기의 출구가 좀처럼 보이지 않아 올해도 여러 차례 추경을 편성할 가능성을 닫아둘 수 없다.

또 올해 3월 대선 이후에는 신임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예산에 반영하기 위한 추경이 편성될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

민주화 이후 치러진 7번의 대선을 보면, 이 중 새 대통령이 취임해 추경을 편성한 사례는 5번에 달한다.

현재 여야 대선 후보들이 일제히 현 정부보다 더 큰 규모의 자영업자 지원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어, 이번 대선 후 추경 편성 가능성은 예년보다 훨씬 큰 것으로 분석된다.

재원이 넉넉지 않은 상황에서 추경을 편성하려면 국가채무도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올해 이후 중장기적으로는 저출산·고령화로 일하는 사람이 줄고 복지를 받는 고령층이 늘어 재정 여건 악화가 우려된다.

정부는 지난해 발표한 2021∼2025년 국가채무관리계획에서 올해는 물론 내년 이후에도 국가채무가 계속 늘어 2025년 1408조5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민간 경제연구소 고위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 5년은 한국 재정사(史)에 국가 재정 건전성을 급속히 악화시간 기간으로 기록될 것”이라며 “채무가 늘더라도 국민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 향후 갚을 수 있는 수준으로 제어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한데, 요즘은 그런 고민조차 찾아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조해동 기자 haedong@munhwa.com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