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무역 중단 1년반만에..북 화물열차, 중 단둥 도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0년 코로나19 발생 이후 봉쇄됐던 북-중을 잇는 화물열차 운행이 재개됐다.
북한은 2020년 1월 중국에서 코로나19가 발생한 직후 국경을 봉쇄하고 여객열차 운행을 중단시켰다.
북-중은 이후 중국 내 코로나19 상황이 안정화한 지난해 상반기부터 화물열차 운행 재개를 추진해왔다.
하지만, 지난해 11월 북과 국경을 맞댄 동북3성에서 코로나19이 재확산하며 운행 재개도 미뤄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 무역재개 여부 주목
2020년 코로나19 발생 이후 봉쇄됐던 북-중을 잇는 화물열차 운행이 재개됐다. 하지만, 양국이 국경무역을 전면 재개할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16일 복수의 대북 소식통 말을 종합하면, 이날 오전 9시께 북한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중국 랴오닝성 단둥에 북쪽 화물열차가 도착했다. 북의 열차는 이르면 내일 의약품과 생필품 등 ‘긴급 물자’를 싣고 북한으로 돌아갈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누리꾼 ‘쥔러바오’가 중국판 틱톡인 ‘더우인’에 올린 52초 남짓한 짤막한 동영상을 보면, 북한 신의주와 중국 단둥을 연결하는 압록강 철교(중조우의교)의 동쪽(북한)에서 서쪽(중국)으로 화물열차가 느린 속도로 넘어오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누리꾼은 영상에서 “북한 열차가 넘어왔다. 봤는가? 오늘 중조우의대교 열차통행이 재개됐다”고 말했다.
북한은 2020년 1월 중국에서 코로나19가 발생한 직후 국경을 봉쇄하고 여객열차 운행을 중단시켰다. 또, 그해 8월엔 간헐적으로 이어졌던 화물열차 운행마저 멈추며 사실상 육로무역을 전면 중단했다.
북-중은 이후 중국 내 코로나19 상황이 안정화한 지난해 상반기부터 화물열차 운행 재개를 추진해왔다. 북은 이를 위해 지난해 3월 초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에서 ‘국경 통과 지점 수입물자 소독 관련 제도 정비’를 뼈대로 한 수입물자소독법을 입법했다. 또, 의주비행장에 철도를 연결하고, 활주로 주변에 가건물을 건설하며 국경 무역을 위한 전담 방역시설로 쓰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하지만, 지난해 11월 북과 국경을 맞댄 동북3성에서 코로나19이 재확산하며 운행 재개도 미뤄졌다. 하지만, 베이징 겨울올림픽을 앞둔 중국과 철저한 ‘제로 코로나’ 정책을 유지 중인 북이 육로무역을 곧바로 재개할지는 알 수 없다. 일단 긴급 물자 조달을 위한 시험운행을 거친 뒤, 방역 상황에 이상이 없으면 순차적으로 왕래 폭을 넓혀갈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지난 1일 소식통의 말을 따 “북쪽이 중국 쪽에 ‘1월 중에 육로 무역을 재개하는 방향으로 준비하자’고 통지했다”고 전한 바 있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KSOI] 윤석열 41.4% 이재명 36.2% 안철수 9.6%
- 윤석열 ‘딱 7글자’ 정치와 짧은 글자수의 권력
- [Q&A] ‘서울만’ 방역패스 없이 대형마트·백화점 이용
- ‘칩거’ 심상정 광주 붕괴현장 찾아…“마음 찢어져 내려왔다”
- 국민의힘 ‘김건희 통화’ 방송 앞두고 초긴장…역풍·동정론도 기대
- 윤석열 장모, 오스템 직원, 해외 유학생까지…잔고증명 위조 시대
- 안철수 “‘안일화’ 못 들어보셨나”…단일화 선긋기
- 소상공인 300만원 추가 방역지원금, 설 전에 못 받는다
- 월요일 출근길 강추위 온다…수도권 아침 기온 -10도 이하 ‘뚝’
- 올스타전 심판 허재, 양팀 주장 아들과 ‘코트 함박웃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