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 요소수 사태' 막는다.. 37개 재외공관에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제2의 요소수 사태'를 막기 위해 주요 재외공관들에 핵심품목 수급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대외의존도가 높고 민생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경제외교' 품목 4,000여 개가 감시 대상이다.
외교부는 16일 "해외발(發) 공급망 교란이 국내 산업ㆍ민생으로 파급되는 사태를 방지할 목적으로 13일 37개 재외공관에 '경제안보 핵심품목 조기경보시스템'을 설치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제안보외교센터도 3월 중 운영 목표
정부가 ‘제2의 요소수 사태’를 막기 위해 주요 재외공관들에 핵심품목 수급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대외의존도가 높고 민생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경제외교’ 품목 4,000여 개가 감시 대상이다.
외교부는 16일 “해외발(發) 공급망 교란이 국내 산업ㆍ민생으로 파급되는 사태를 방지할 목적으로 13일 37개 재외공관에 ‘경제안보 핵심품목 조기경보시스템’을 설치했다”고 밝혔다. 조기경보시스템은 재외공관에서 현지 주요품목 수급 현황을 관찰하다가 이상이 생기면 즉시 정부에 보고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11월 대외의존도가 높은 품목 및 주요 광물자원의 수입 대상국 23곳에 우선 설치됐고 이번에 14곳이 추가됐다.
추가 재외공관 선정에는 지난달 10일 범정부 ‘경제안보 핵심품목 태스크포스(TF)’ 3차 회의에서 논의된 모니터링 기준이 반영됐다. 당시 정부는 4,000여 개 품목을 감시 대상으로 지정하고, 시급성과 중요성을 기준으로 AㆍBㆍCㆍD 4단계로 등급을 부여했다. A등급부터 순서대로 매주, 격주, 매월, 분기별로 점검이 이뤄질 예정이다.
외교부는 국내에서 각국 경제안보 사안을 모니터링할 ‘경제안보외교센터’도 3월 중 운영 개시를 목표로 속도를 내고 있다. 인력 충원을 위해 박사급 1명, 석사급 3명 등 연구원 4명의 모집공고도 냈다. 경제안보외교센터는 지난해 11월 만들어진 외교부 경제안보 TF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첨단기술과 공급망, 기후ㆍ환경 등을 둘러싼 주요국 경제안보 정책과 현안을 조기에 포착하고 분석하는 게 주 업무다. 센터 설립에 들어가는 25억5,000만 원 역시 올해 예산에 배정됐다.
정준기 기자 joon@hankookilbo.com
ⓒ한국일보 www.hankookilbo.com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 '딸기 대란', 30년 베테랑도 울린 지구온난화 탓?
- 홍카콜라는 '김건희 7시간' 보도 기다린다?..."'조국수홍' 오해 풀 기회"
- 이하늬, 엄마 된다…"6월 출산 예정"
- 조영남, 가짜 결혼식 폭로에 내놓은 답변 "행위예술"
- 관광천국 제주는 어쩌다 동물지옥이 됐나
- 1m 목줄에 벌레 고인 물... 고물 더미 속 구조된 백구 '치유'
- "SNS에 성인 광고가"…해킹으로 몸살 앓는 스타들
- 일본서 1m 넘는 쓰나미 관측… 5년여 만에 쓰나미 경보 발령
- "얼마나 힘들지 아니까요" 학동 참사 유족 밤늦게 사고 현장 찾아
- [HI★초점] 연애 리얼리티 전성시대, 어떻게 돌아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