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조선·대우조선 기업결합 좌초..새 주인 찾기 쉽지 않다

2022. 1. 15. 09:2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세계 조선업계 1위 한국조선해양과 3위 대우조선해양의 인수합병이 유럽의 제동으로 최종 무산됐습니다. 정부는 다시 새 주인을 찾아야 할 판인데, 이게 쉽지 않습니다. 박은채 기자입니다.

【 기자 】 유럽연합은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이 합병하면 세계 시장을 최소 60% 점유한다며, LNG 운반선 시장의 경쟁을 저해한다는 이유를 들었습니다.

속내는 에너지 문제였습니다.

시장 독점으로 LNG 운반선 가격이 오르면 LNG 가격을 상승시킬 수 있다는 우려입니다.

유럽연합은 세계 3위 LNG 수입국입니다.

▶ 인터뷰 : 김태기 /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 - "유럽은 조선과 해운 의존도가 높은 곳이잖아요. 독과점 문제에 대해서 굉장히 엄격합니다."

이번 EU 결정으로 대우조선 매각은 3년 만에 원점으로 돌아갔습니다.

▶ 스탠딩 : 박은채 / 기자 - "대우조선해양의 최대 주주인 산업은행은 새로운 매각 대상을 찾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상황은 녹록지 않습니다.

3년 전에는 선박 후판을 만드는 포스코가 유력 후보였지만,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 인터뷰 : 정준모 / 인하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 "최근에 포스코가 워낙 탈탄소 쪽에 드라이브를 걸다 보니까 주요 신사업이 조선업보다는 조금더 첨단 업종으로 많이 가니깐요."

해외 매각을 타진한다면 대우조선이 갖고 있는 잠수함 사업이 걸림돌입니다.

대우조선 매각을 반대해 온 거제시와 노조는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 인터뷰 : 김용운 / 매각반대시민대책위 공동위원장 - "대우조선을 매각하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방향을 깊이 고민해야 합니다."

한국조선해양은 유럽연합 등 6개국으로부터 기업결합을 인정받는 조건으로 2019년 3월 대우조선해양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과 매각 계약을 맺었습니다.

MBN뉴스 박은채입니다.

[icecream@mbn.co.kr]

영상취재: 배완호 기자 영상편집: 오광환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