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한국계 이민자, 美번영 기여에 감사"
워싱턴=문병기 특파원 입력 2022. 1. 15.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사진)이 13일(현지 시간) '미주 한인의 날'을 맞아 한국계 미국인에게 감사 서한을 보냈다.
미주한인유권자연대(KAGC·대표 김동석)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서한에서 "1903년 오늘 선구적 한국 이민자가 하와이에 도착해 위대한 역사의 새 장을 열었고 미국의 성장, 힘, 번영에 일조했다"고 치하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하원선 '한국계 공헌' 결의안 제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사진)이 13일(현지 시간) ‘미주 한인의 날’을 맞아 한국계 미국인에게 감사 서한을 보냈다. 미 하와이주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하기 위해 한국인 102명이 1903년 1월 13일 한국인 최초로 미국 땅을 밟은 날을 기리려고 2005년 미 의회가 제정한 기념일이다.
미주한인유권자연대(KAGC·대표 김동석)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서한에서 “1903년 오늘 선구적 한국 이민자가 하와이에 도착해 위대한 역사의 새 장을 열었고 미국의 성장, 힘, 번영에 일조했다”고 치하했다. 이날 미 하원에는 한국계 미국인의 공헌을 기리는 결의안도 제출됐다. 영 김, 미셸 박 스틸, 매릴린 스트리클런드, 앤디 김 의원 등 하원의 한국계 의원 4명을 포함해 총 76명 의원이 초당적으로 참여했다.
미주한인유권자연대(KAGC·대표 김동석)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서한에서 “1903년 오늘 선구적 한국 이민자가 하와이에 도착해 위대한 역사의 새 장을 열었고 미국의 성장, 힘, 번영에 일조했다”고 치하했다. 이날 미 하원에는 한국계 미국인의 공헌을 기리는 결의안도 제출됐다. 영 김, 미셸 박 스틸, 매릴린 스트리클런드, 앤디 김 의원 등 하원의 한국계 의원 4명을 포함해 총 76명 의원이 초당적으로 참여했다.
워싱턴=문병기 특파원 weappon@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발견 31시간 만에 구조했지만…붕괴 현장 실종자 1명 사망
- 제동걸린 마트·백화점 ‘방역패스’…당국, 서울外 지역도 해제 검토
- 美 국무부 “北 미사일 발사 규탄…대화에 나서라”
- ‘김건희 통화’ 일부 방송 허용에…野 “나쁜 선례” 與 “상식에 부합”
- 엉터리 세수추계 반성 않고, 공돈 주듯 추경 생색낸 당정청 [사설]
- 安·沈 무시한 李·尹만의 짬짜미 TV토론은 공정하지 않다 [사설]
- 동체 착륙한 F-35A 스텔스전투기 ‘조류 충돌’ 확인
- 화성 콘크리트 작업하던 인부 사망…조개탄에 질식한 듯
- 文대통령 “안보실장 남아라”…北 3번째 도발에 ‘면밀주시’ 지시
- 한은, 기준금리 추가 인상 시사…부담 커지는 영끌·빚투족